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이 11일 발표한 '2006년 세계경쟁력 연감'에서 한국의 국가경쟁력이 지난해보다 9계단이나 추락해 38위로 밀려났다.

특히 조사 대상 61개국 가운데 한국의 순위가 가장 많이 떨어졌을 뿐만 아니라 중국과 인도에도 추월당함으로써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최하위권으로 내려앉았다.

한마디로 경쟁국들은 뜀박질을 하고 있는데 우리만 제자리걸음을 해왔다는 얘기이고 보면 세계 10위의 경제규모를 쌓아올린 우리나라의 경쟁력치고는 너무나 보잘 것 없는 결과에 심각한 우려(憂慮)를 갖지 않을 수 없다.

참여정부는 그동안 동북아 중심국가 육성,국가혁신 등 경쟁력강화 정책들을 잇따라 내놓고 이를 핵심 사업으로 적극 추진해오면서 정부혁신 실적 홍보에 열을 올려왔을 뿐만 아니라 기업하기 좋은 나라 건설을 입버릇처럼 해왔다.

하지만 정작 이번 IMD의 평가결과에서 우리 정부의 행정효율은 지난해 31위에서 47위로 무려 16계단이나 추락했는가 하면,'정부가 경쟁력에 부정적 기여를 하고 있는' 국가군에 포함되는 등 영 딴판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정부가 '국가경쟁력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세간의 지적에 설득력을 더해준 셈이다.

뿐만 아니라 노사관계가 3년 연속 꼴찌로 평가되고 기업규제를 비롯 제도적 여건이 갈수록 나빠지는 등 기업경영의 비효율성도 국가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주요인으로 드러났다.

노조에 대한 기업인들의 부정적 시각이 결코 완화(緩和)되지 않고 있음이 다시 한번 확인된 것이다.

따라서 이번 보고서는 우리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어떤 일을 해야 하는지를 너무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 점에서 정부 당국은 조사 방법이나 시점 등을 이유삼아 이번 평가결과를 폄하할 게 아니라 이번 기회에 국가경쟁력 추락 문제를 심각하게 반성하고 경쟁력을 회복시킬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마련하는 게 급선무(急先務)다.

정부는 행정효율을 높이기 위해 공무원 감축,정부지출 삭감 등을 통한 정부혁신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안정된 노사관계를 만들어내지 않고는 경쟁력을 높일 수 없는 만큼 정치권과 정부는 더 이상 각종 규제 등을 통해 기업의 발목을 잡지 말고 기업을 실질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