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집값 거품론 ‘갑론을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앵커>
한국은행이 보고서를 통해 집값이 사상초유 수준으로 급등하고 있다며 집값 붕괴위험성을 경고했습니다. 하지만 치솟고 있는 집값이 정말 거품인지에 대해선 찬반론이 분분합니다.
이주은 기자입니다.
기자>
평당 3천 만원을 호가하는 강남 아파트값.
평당 6천 만원을 넘어선 한국 최고가 아파트 가격.
한국 집값이 실제 붕괴직전 최고점에 달한 것일까.
Cg1> 집값 상승지역 분포
한국은행은 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지난 20년간 평균 집값 상승률을 넘어선 지역이 최근 눈에 띄게 늘고 있다며 국지적인 집값 상승세에 대해 우려감을 표했습니다.
지난 90년대 초 집값 폭락 직전처럼 거품이 끼고 있단 지적입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전체 주택시장이 폭락하기 보단 일부 시장의 조정 가능성에 대해 동의하는 입장입니다.
<전화인터뷰: 박재룡 삼성경제연구소 교수>
“지금의 일부지역의 상승세는 정부정책 영향으로 왜곡되 나타나는 현상이다. 상승추세가 지속되는 것은 한계가 있다. 결국 집값은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이에 반해 우리의 소득수준과 경제규모를 고려할 때 집값 상승률은 합리적인 수준이란 의견도 팽배합니다.
집값이 급등한 강남권 역시 수급불균형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희소성에 의해 집값이 올라갈 수 밖에 없단 평가입니다.
<인터뷰: 고종완 RE멤버스 대표>
“강남권은 지난 20년 동안 주거여건 인프라를 갖춰 지금 성숙된 시장이 되었다. 이 때문에 주거가치가 올라가면서 자연스레 집값이 뛴 것이다. 또, 더 이상 공급이 없기 때문에 희소성이 올라가고 집값이 올라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평당 1억원에 달하는 세계 대도시 최고가 아파트 가격.
우리의 부동산 시장 역시 경제 성숙도에 따라 자연스레 가격이 오르는 것인지, 인위적인 시장교란에 의한 부작용으로 거품이 끼는 지 의견이 분분하지만, 집값이 뛰는 데 대한 우려감에는 이견이 없는 모습입니다.
WOW TV-NEWS 이주은입니다.
이주은기자 jooeunwin@wowtv.co.kr
한국은행이 보고서를 통해 집값이 사상초유 수준으로 급등하고 있다며 집값 붕괴위험성을 경고했습니다. 하지만 치솟고 있는 집값이 정말 거품인지에 대해선 찬반론이 분분합니다.
ADVERTISEMENT
기자>
평당 3천 만원을 호가하는 강남 아파트값.
ADVERTISEMENT
한국 집값이 실제 붕괴직전 최고점에 달한 것일까.
Cg1> 집값 상승지역 분포
ADVERTISEMENT
지난 90년대 초 집값 폭락 직전처럼 거품이 끼고 있단 지적입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전체 주택시장이 폭락하기 보단 일부 시장의 조정 가능성에 대해 동의하는 입장입니다.
ADVERTISEMENT
“지금의 일부지역의 상승세는 정부정책 영향으로 왜곡되 나타나는 현상이다. 상승추세가 지속되는 것은 한계가 있다. 결국 집값은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이에 반해 우리의 소득수준과 경제규모를 고려할 때 집값 상승률은 합리적인 수준이란 의견도 팽배합니다.
집값이 급등한 강남권 역시 수급불균형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희소성에 의해 집값이 올라갈 수 밖에 없단 평가입니다.
<인터뷰: 고종완 RE멤버스 대표>
“강남권은 지난 20년 동안 주거여건 인프라를 갖춰 지금 성숙된 시장이 되었다. 이 때문에 주거가치가 올라가면서 자연스레 집값이 뛴 것이다. 또, 더 이상 공급이 없기 때문에 희소성이 올라가고 집값이 올라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평당 1억원에 달하는 세계 대도시 최고가 아파트 가격.
우리의 부동산 시장 역시 경제 성숙도에 따라 자연스레 가격이 오르는 것인지, 인위적인 시장교란에 의한 부작용으로 거품이 끼는 지 의견이 분분하지만, 집값이 뛰는 데 대한 우려감에는 이견이 없는 모습입니다.
WOW TV-NEWS 이주은입니다.
이주은기자 jooeunwin@wowtv.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