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일용직 근로자의 임금이 상용직 근로자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등 노동시장의 양극화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저임금근로자의 비중과 단시간근로자 및 저임금근로자 등을 포함한 부적합취업률이 미국 등 주요국들보다 훨씬 높아 고용의 질도 악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12일 한국노동연구원의 연구보고서인 `노동시장의 양극화와 정책과제'에 따르면 2004년 기준 상용직 대비 임시일용직 임금 비율은 48.6%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상용직 대비 임시일용직 임금 비율은 2000년 51.3%였으나 2001년 51.1%, 2002년 51.0% 등으로 꾸준히 낮아졌고 2003년(48.6%)부터는 50% 이하로 떨어졌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간 임금격차도 확대되고 있다. 대기업(300인 이상) 대비 중소기업(300인 미만) 근로자의 임금 비중은 2000년 64.9% 수준이었으나 2001년 62.8%, 2002년 61.6%, 2003년 60.1% 등으로 계속 낮아졌고, 2004년에는 59.8%를 기록하며 결국 60%선이 무너졌다. 중위임금(전체 임금근로자 임금의 중간 값)의 3분의2 이하를 받는 저임금근로자 비율이 높아지는 등 고용의 질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 저임금근로자 비율은 2003년 27.5%에서 2004년에는 26.3%로 떨어져 다소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작년에는 26.8%로 다시 높아졌다. 지난해 저임금근로자 비율은 미국(24.9%, 2005년 기준), 네덜란드(16.6%, 이하 2000년 기준), 독일(15.7%), 프랑스(15.6%), 덴마크(8.6%) 등의 주요국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저임금근로자 증가 등으로 인해 고용의 질을 보여주는 부적합취업률이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부적합취업률은 경제활동 인구와 한계근로자(일할 의사와 능력은 있으나 최근 1년간 일자리를 찾지 않은 사람)를 더한 뒤 이중 실업자, 불완전 취업자(단시간근로자), 한계근로자, 저임금근로자의 비중을 나타내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부적합취업률은 2004년 기준 31.8%로 미국(26.4%), 영국(23.0%), 독일(19.3%), 네덜란드(16.4%), 일본(11.4%) 등을 훨씬 웃돌고 있다. 보고서는 "노동시장의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근로빈곤층의 생활수준을 개선하고 중간수준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정책을 적극 시행하는 한편 숙련노동의 공급을 늘리기 위한 교육훈련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현영복 기자 youngbo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