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 로치 분석가는 워싱턴 정가에서 중국을 무역적자의 주범으로 몰아가고 두바이 투자자들의 항만 인수 추진에 제동을 거는 것은 근본적 해결방법을 도외시한 대응이라고 일축했다. 모건스탠리 수석경제학자 로치는 27일(현지시각) '저축률 불안과 보호무역주의 반발'이란 자료에서 중국을 관세로 제재한다고 해서 미국의 거대한 무역적자가 해결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지난해말 미국의 경상적자는 8천억달러에 달하고 이중 93%는 무역적자. 로치는 "중국이 아닌 다른 국가를 무역파트너로 선정한다면 되레 고원가 제품을 수입게돼 미국 소비자들의 구매력만 떨어뜨린다"고 설명했다. 또한 두바이포트월드의 미 항만 운영권 인수를 제한시킨다면 다음 투자자는 더 까다로운 금융조건을 내걸 게 뻔하다고 꼬집었다. 로치는 "이같은 상황의 주 원인은 가계-기업-정부를 통합한 미국의 순저축률이 (-)1.3%를 기록할 정도인 최악의 저축률 탓이다"며"이제 미국은 오래된 기계를 바꾸고 싶어도 내부적으로 돈이 없는 상태이다"고 비유했다. 저축률 부족의 경제를 타개하려면 경제성장을 떨어뜨리거나 세계 다른 경제권에서 돈을 꿔 오는 수 밖에 없다고 지적, 성장률 저하를 받아들이기 힘든 분위기를 감안하면 외부 조달만이 유일하다고 비꼬았다. 더구나 가지고 있는 수단 이상의 소비에 열중하면서 적자 수지상태로 진입, 미국 스스로가 중국과 두바이투자자를 자신들의 거시 경제 방정식내로 끌어들였다고 설명했다. 로치는 "미국은 돈을 빌려줄 대출자를 고를 능력도, 돈을 빌려오면서 조건을 명령할 처지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다가올 중간선거로 인해 정치권의 '남의 탓' 게임은 더 치열해질 것"으로 관측했다. 그럴수록 달러화나 실질금리에 대한 금융시장의 반발만 키울 것이라고 경고. 한경닷컴 박병우기자 parkb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