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아파트들의 층수가 언덕 등 경관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결정되고 있으므로 일정 규모 이상 아파트 단지에는 `평균 층수' 제도를 도입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목정훈 도시설계연구팀 부연구위원은 29일 서초동 연구원에서 열릴 `주거지역 공동주택의 합리적 높이 관리 개선방안' 토론회에 앞서 발표한 주제발표문에서 이같이 제안했다. 목 위원에 따르면 2000년 이후 건립된 제2종 일반주거지역 내 20개 공동주택 구역 90개 동의 층수를 분석한 결과 평균 층수가 12.5층이었고 제3종 일반주거지역 내 62개 공동주택 구역 459개 동의 평균 층수는 21.5층이었다. 그러나 구릉지(해발표고 40m 이상) 지역과 한강수변 500m 이내 지역의 공동주택 층수 분포는 2종 구릉지 12.9층, 2종 한강수변 11.4층, 3종 구릉지 20.3층, 3종 한강수변 25.7층 등으로 지형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목 위원은 "구릉지는 서울 시내의 평균 층수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한강수변의 경우 3종 지역에서 특별히 고층 건축이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특히 구릉지에 높은 건물을 짓는 것은 서울의 경관 특성을 해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에 따라 지역의 경관 특성을 반영한 합리적 높이 계획을 위해서는 대지 규모 1만㎡ 이상인 공동주택과 균형발전 촉진지구 등에 대해서는 평균 층수를 운영하는 것이 경관 보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목 위원은 "다만 해발 40m 이상 구릉지 지역의 경우 평균 층수를 일률적으로 적용하기보다는 심의를 거쳐 지역별로 차등 적용해야할 것"이라며 "또 최고 16∼20층 이하로 제한해 평균 층수로 인한 왜곡을 보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sisyph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