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창영 연세대 총장은 18일 "앞으로 10년이 선진국으로 도약하는 마지막 기회의 창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총장은 이날 서울 은행회관에서 한국선진화포럼이 `한국경제 선진화의 조건과 과제'를 주제로 개최한 제1차 월례 토론회에 참석, "급속한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잠재성장률이 2015∼2025년에는 3%, 2025년이후에는 2%미만으로 하락할 전망"이라며 이처럼 밝혔다. 그는 선진화 달성 여부는 국민들의 마음가짐에 달려있지만 여야, 노사, 계층, 지역간에 국력을 낭비하는 소모전이 벌어지면서 최근 우리 나라를 비관론이 지배하고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나친 비관론 보다는 조심성 있는 낙관론이 사회를 지배하도록 해야 한다"며 사회 지도층의 역할을 강조하고 "특히 기업가들이 혁신적인 투자를 할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 기업가 정신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총장은 한국이 선진국 진입을 앞두고 10년이상 맞고 있는 정체상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공동체 의식을 지닌 성숙한 사회를 만들고 명분 싸움보다 실질을 중시하는 분위기가 널리 확산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일본의 도요타와 현대자동차를 비교하면서 노사관계도 산업화 시대의 대립과 갈등을 넘어 지식사회에 맞게 산업평화로 가야 한다고 제시하고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확립, 사회 안전망의 확충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또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 비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 회원국중 24위인 점을 지적하면서 적극적인 대외 개방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 총장은 반기업 정서의 확산을 의식한듯 삼성전자, 현대차, 포스코, LG, SK텔레콤, KT 등 간판기업은 국민들의 따뜻한 격려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글로벌 경쟁속에서 지나친 형평 중시로 인해 세계적인 기업이나 산업으로 성장할 분야를 억제한다면 선진화는 어렵다"며 "형평과 효율의 조화로운 추구가 절실히 요청된다"고 밝혔다. 그는 인적자원의 최대한 활용, 혁신능력 극대화, 자본재 산업의 육성, 교육과 의료산업의 경쟁력 강화 등을 언급하면서 핀란드, 스웨덴 등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북구 모델을 발전 전략으로 제시했다. 정 총장은 "고학력 여성의 유입을 촉진하고 현재 55∼60세인 정년을 60∼65세로 늘리면서 임금피크제를 적용하는 것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나라는 우수한 인적자원을 갖고 있는 만큼 선진화가 결코 어려운 일이 아니다"면서 "성장률 등 숫자뒤에 숨어있는 사람들의 살림살이를 중시하는 경제정책이 필수"라고 말했다. 또 다른 주제발표자인 김광두 서강대 교수는 "한국의 기업환경 순위가 태국이나말레이시아에도 못 미치는 세계 27위에 머물러 있다"며 성장잠재력을 떨어뜨리는 가장 큰 요인인 기업 설비 투자의 부진은 세계화에 따른 투자위험 증대, 행정규제, 반기업 정서, 노사관계 불안 등 여러가지 불확실성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 교수는 한국경제가 선진경제로 진입하기 위해 ▲정치와 경제논리의 조화 ▲규제 최소화 ▲노동시장의 유연성 제고 ▲서비스 산업의 육성 ▲연구개발 투자의 효율성 향상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경수현기자 eva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