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정감사 이틀 째인 오늘, 한국토지공사가 국회의 심판대에 올랐습니다. 경제자유구역 사업 부실과 택지조성사업에서의 삼성 특혜의혹, 그리고 미분양으로 방치되고 있는 1조원대의 산업단지 등 토지공사의 각종 사업에 대한 의원들의 맹렬한 비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현장에 나가있는 취재 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주은 기자! 기자> 네. 토지공사 국정감사 현장에 나와있습니다. 오늘 국정감사는 첫 질의를 맡은 서재관 의원부터 토지공사의 핵심 사업인 경제자유구역 사업에 대해 사업진행을 위한 외자유치 실적이 매우 부진하다며 6개 지구 천311만평에 달하는 경제자유구역 사업에 오직 9명의 투자유치팀을 운영하고 있는 토지공사의 무책임한 경영과 총체적 부실에 대한 맹비난해 현장의 분위기가 냉각되기 시작됐습니다. 이어 토지공사의 산업단지 조성에 대한 지적이 나왔는데요. 한나라당 안택수 의원 등은 토공이 산업단지의 사업성과 수요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 임의대로 단지조성에 착수해 보상을 마치고도 분양이 안돼 그대로 방치된 사업장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며 토지공사의 방만한 경영에 대해 비난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요구했습니다. 안 의원은 2005년6월 말 현재 전국에 걸쳐 금액기준으로 1조천480억원어치의 택지가 미분양된 채 부채로 잡혀있다며, 수익성을 악화시키고 국민부담을 가중시키는 산업단지 사업에 대한 대책을강구하라고 지적했습니다. 또 땅을 헐값에 삼성전자에 팔아 넘기면서 그 손실을 입주 예정자들에게 떠넘겼다는 의혹이 제기됐는데요.한나라당 허 천 의원은 토지공사가 지난해 3월 경기도 화성 동탄 신도시의 부동산 16만평을 삼성전자에 매각하는 과정에서 자체 평가액인 평당 2백 81만원보다 59만원씩이 싼 평당 2백 22만원씩에 팔아 넘겼다며 이로 인해 9백 85억원의 손실을 발생하자 이 손실을 다른 택지에 입주 예정인 주민들에게 떠넘길 계획이었다고 그 내막을 밝히라고 요구했습니다. 의원들은 이 밖에도 PF사업에서 투명성과 택지보상문제, 판교 택지공급에 대한 특정 건설업체 특혜의혹, 잦은 설계변경으로 인한 공사비 인상 등 고질적인 방만한 경영으로 인해 수익성이 저조한 점등을 지적할 예정입니다. 이주은기자 jooeunwin@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