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포과학공원 형태의 과학만을 주제로 한 공원시설은 전세계를 통틀어 찾아보기 힘들다. 미국의 엡콧센터(Epcot Center. 미래세계의 실험적인 마을), 프랑스의 퓨처스코프(Futurscope. 미래를 보는 망원경), 엑스포과학공원 등 전세계 3곳 정도다. 엡콧센터의 경우 세계적 위락그룹인 월트디즈니사가 관리하고 있으며 미국 올랜드주 디즈니월드 내 테마파크 가운데 하나로 다른 놀이,위락시설과 연계해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또 AT&T, GM 등 미국 대기업들이 전시구역을 홍보차원에서 운영하고 있어 과학테마공원 운영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있다. 반면 주 정부와 민간업체가 함께 운영 중인 프랑스의 퓨처스코프는 만만찮은 운영비로 과학공원과 마찬가지의 어려움에 놓여 있다. 대형자본을 등에 업은 엡콧처럼 민간운영하는 방안도 있으나 이는 과학공원 개장목적인 '전국민 과학기술 인식제고'라는 공익성을 어느 정도 포기해야 한다. 이미 개장 초기 민간운영 실패를 경험하기도 했고 현재 상태에서 적자상태인 과학공원 운영을 선뜻 맡겠다고 나설 민간사업자도 없을 것이다. 그렇다고 현재처럼 지방공사가 자본금을 소진하며 끌고가는 것은 더욱 힘에 부친다. 국가 전체적인 과학시설 운영을 애초에 지방자치단체인 대전시에 떠넘긴 것이 무리였다는 지적도 많다. 단순히 이벤트를 통해 관람객을 모으고 직원수 줄이는 구조조정 만으로는 연 50억원, 시설보수 및 투자비를 고려하면 100억원에 이르는 적자를 막기에는 역부족으로 지금 추세라면 5-6년 내 남아있는 500억원 기금마저 사라진다. 연구단지홍보관, 교통안전체험교육센터 건설 등 대규모 국책사업이 과학공원 활성화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겠지만 전면적인 시설개선 없이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이를 위해 대규모 투자자금이 필요하지만 대전시의 직접적인 자금지원도 없는데다 정부가 지방공사 자체시설 개선에 대규모 예산을 배정하기를 기대하기도 어려운 상태다. 최근 협상이 진행 중인 국책기관 한국과학문화재단의 과학공원 인수 문제에 눈길이 가는 것은 이 때문이다. 과학문화재단은 전국단위 과학관련 행사를 진행하고 있는 공익기관이라 정부예산 투입은 지방공사보다 수월해 진다. 이는 1999년 대전시로 넘겨진 과학공원의 소유권이 다시 정부로 돌아가게돼 공익시설로 인정받게 되기 때문이다. 과학문화재단은 과학공원을 인수하면 전국단위의 가족과학축제, 청소년탐구대회, 과학과 예술이 만나는 사이아트, 과학영화제 등 다양한 과학행사를 과학공원에서 진행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과학문화재단 입장에서도 국내 과학문화를 대표하는 기관으로 조직위상을 높이고 상설과학행사 장소를 지닌다는 측면에서 적극적인 인수의사를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과학공원 토지 무상양여 문제가 협상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애초 수월하게 추진됐던 인수문제가 전체 면적 56만여㎡의 과학공원 가운데 23만여㎡ 가량을 과학문화재단에 무상양여하는데 시의회와 시민들이 반발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가치가 높은 대전시 소유의 토지를 정부기관인 과학문화재단에 무상으로 넘겨주는데 대한 거부감을 보이고 있는 것. 현재 대전시는 이런 반발을 고려해 30-40년 토지 장기위탁 운영안을 제기한 상태나 과학문화재단이 장기적인 정부예산 투자를 위해 토지소유권 무상양여를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어 협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는 과학문화재단과 과학공원의 통합이 무산되면 미운영 전시관을 철거하고 시민휴식공간을 조성하는 등 공익성을 지닌 과학공원 장기발전계획을 재추진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 방안은 현재보다 더 소극적인 과학공원 운영책이 될 가능성이 있어 과학공원 정상화나 개장 본질을 살리는 방안이 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과학공원 직원들은 장기위탁방식이든 무상양여방식이든 과학문화재단에 소속돼 운영 활로를 찾기를 내심 희망하고 있다. 한 직원은 "비슷한 역할을 하는 인근 국립중앙과학관도 과학공원 개념으로 바라보면 만성적자시설이고 대전시의 월드컵경기장, 예술의 전당, 한밭수목원 모두 수익성 측면에서는 마찬가지다. 국가과학을 키우는 국가공익적 시설로 과학공원을 운영하지 않으면 어떤 대책도 어렵다"고 솔직한 심정을 토로했다. 얼마전 설문조사에서도 과학기술도시를 자부하는 대전시의 최고상징으로 엑스포과학공원이 뽑히기도 했다. 운영주체가 대전시가 됐든 정부가 됐든 과학공원에서 열리는 행사에 많은 사람이 찾으면 대전시에서 음식을 사먹고 잠을 자게 돼 부가적인 이익은 결국 대전시민에게 돌아가게 된다. 과학문화재단에 엑스포과학공원을 넘기는데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과학공원 부지의 `무상양여'를 `넘겨줘 손해'라는 단순한 생각보다는 그로 인해 얻을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꼼꼼하게 따져보고 심각하게 고민해 볼 때라는 것이 과학공원을 걱정하는 사람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대전=연합뉴스) 조용학 기자 catc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