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데 과학기술이 결정적으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과학기술부가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의 `IMD 세계경쟁력연감 2005'를 분석한 결과 밝혀졌다. 29일 과기부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은 29위로 지난해 35위에서 6단계 상승했는데 국가경쟁력 평가지표인 ▲경제운영 성과 ▲정부 행정효율 ▲기업 경영효율 ▲발전인프라 등 4대 분야에서 발전인프라 부문이 23위로 가장 높았다. 발전인프라를 구성하는 5개 부문 중에서도 과학경쟁력과 기술경쟁력이 각각 15위, 2위에 올라 과학기술 경쟁력이 전체 국가경쟁력 순위를 끌어 올리는 데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반영했다. 우리나라 과학경쟁력은 지난 2002년 12위로 평가된 이후 2년 연속 하락했으나 올해 15위로 다시 상승세로 반전됐다. 22개 평가지표 중에서 12개가 상승한 반면 5개는 하락했다. 그동안 30위 이하의 낮은 순위를 기록했던 `과학교육의 적절성'은 36위에서 22위로, `청소년의 과학기술 관심도'는 49위에서 21위로, `법적환경의 과학연구 지원정도'는 38위에서 25위로 큰 폭의 순위상승을 기록했다. 그러나 `기초연구가 장기적인 경제발전에 기여하는 정도'는 14위에서 31위로 떨어져 유일하게 하락했는데 이는 설문조사 대상 기업인들의 기초ㆍ원천기술에 대한 높은 기대수준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과기부는 분석했다. 과기부는 올해 우리나라 과학경쟁력 평가순위의 상승에 대한 원인으로 ▲국가 기술혁신체계(NIS)구축 ▲연구 개발성과의 사업화 및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기술협력 증진 ▲첨단 핵심 기술인력 및 기업 수요에 부응하는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 등을 꼽았다. 기술 경쟁력의 경우 지난 2002년 17위에서 2003년 27위로 급격히 하락이후 2004년 다시 대폭 상승해 8위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에도 6단계 상승한 2위를 기록했다. 기술경쟁력 20개 평가지표 중 12개가 상승한 반면 순위하락를 보인 지표는 3개에 불과했다. 지난해 정량적 평가지표 항목에 신설된 `광대역 통신 가입자수'가 올해도 1위를 유지했고 올해 신설된 `광대역 통신요금'도 2위를 기록했으며 `국내총생산(GDP) 대비 통신분야 투자규모'의 순위가 전년 대비 19단계 상승한 8위를 기록하는 등 정보기술(IT) 분야의 강국임을 입증했다. 설문지표에서는 올해 신설된 `기업규제의 기업발전 지원정도'를 제외한 모든 지표의 순위가 7∼25단계씩 상승, 기술경쟁력을 세계 2위로 끌어올렸다고 과기부는 진단했다. 특히 30위 이하의 낮은 순위를 보이던 `정보통신 기술자의 충분성'이 30위에서 8위로, `기업간 기술협력 정도'가 38위에서 19위로, `법적환경이 기술개발 및 응용을 지원하는 정도'는 38위에서 20위로, `기술개발자금의 충분성'이 36위에서 18위로, `사이버보안이 기업에서 적절히 다루어지는 정도'가 44위에서 19위로 각각 크게 상승했다. `기업규제의 기업발전 지원정도'의 평가결과가 30위로 저평가된 것은 설문대상 기업인들이 사회적인 필요에 의해 부과되는 기술규제를 사업의 기회로 인식하기보다는 장애물로 인식하는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과기부는 설명했다. 과기부는 "과학기술혁신본부의 출발과 함께 2005년 과학기술 경쟁력의 세부지표 순위가 대부분 상승한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면서 "앞으로 유관부처와 협력해 과학기술 혁신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정내기자 jnl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