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내수경기 회복조짐에도 불구하고 고용시장은 여전히 침체국면을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지난달 실업률이 4%에 육박하며 1월기준으로는 4년만에 가장 높았고 사실상 실업상태에 있는 '준(準)실업자' 숫자도 크게 늘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고용없는 성장'의 현실화를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고용지표가 통상 경기에 후행하는 성격을 가져 경기회복이 가시화되면 고용사정도 점차 나아질 것이란 낙관론도 제기됐다. ◆고용시장은 아직 '꽁꽁'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1월 중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실업률은 지난해 2월(3.9%) 이후 11개월만에 가장 높은 3.9%로 집계됐다. 특히 '청년 백수' 문제가 심각했다. 지난달 청년층(15∼29세) 실업자수는 43만1천명으로 전달보다 1만1천명 늘었다. 반면 청년층 취업자수는 1년 전보다 10만7천명 감소,전체 취업자수가 14만2천명 늘어난 것과 대조를 이뤘다. '공식'실업자는 물론 사실상 실업상태에 있는 '무늬만 취업자'도 크게 늘어났다. 지난달 주당 근로시간이 35시간 이하인 취업자는 3백만7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2만2천명이나 늘었으며 18시간 미만인 취업자도 같은 기간 4만9천명 불어났다. ◆비관은 아직 이르다 전문가들은 지난해 큰 폭으로 줄어든 국내 건설수주가 최소한 올 3·4분기(7∼9월)까지는 일자리 확대에 큰 부담요인이 될 것으로 우려했다. 다른 내수지표들이 회복되더라도 한동안 고용시장에는 찬바람이 불 가능성이 높다는 진단이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가 추진하는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은 일시적인 효과를 내는 데 그칠 것"이라며 "무엇보다 민간부문의 투자가 활성화돼야만 고용환경이 개선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앞으로 고용없는 성장이 장기화할 것이라는 진단을 내리기엔 아직 이르다는 견해가 우세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대체로 고용지표는 경기에 후행하는 만큼 최근 내수회복 조짐이 고용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려면 적어도 한 두달의 기간이 필요하다"며 "특히 비교시점인 지난해 1월에는 설 연휴가 들어 있어 임시직이 크게 늘어났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