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정치권,재계,시민단체 대표들이 어제 청와대에서 부패방지평가보고대회를 갖고 적극적인 반부패운동에 나서기로 했다. 이달중에는 '반부패투명사회협약'도 체결될 예정이라고 한다. 사회를 구성하는 핵심주체들이 한자리에 모여 부패추방에 앞장서겠다는 의지를 밝힘으로써 우리 사회 전반의 투명성을 한단계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결코 작지 않다. 특히 재계도 반부패 실천과제를 내놓고 불법 정치자금 수수관행 근절,회계 투명성 제고,지배구조 개선,하도급 거래관행 개선,윤리경영 등에 힘쓸 것을 다짐했다. 모처럼의 국민적 합의를 바탕으로 한 사회적 약속인만큼 이번에야말로 지속적인 반부패운동으로 확산돼 선진사회를 향한 초석이 되길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사회 각 분야에 만연하고 있는 부패청산을 외친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지금까지의 반부패노력이 별로 성과를 거두지 못해온 것도 사실이다. 범국민적인 실천운동으로 자리잡지 못하고 일과성 캠페인에 그쳤을 뿐 아니라 부패행위에 대한 엄격한 처벌관행도 정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국제투명성기구가 발표한 지난해 우리나라의 부패지수가 세계 1백46개국 중 47위로 10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데서도 쉽게 알수 있는 일이다. 물론 반부패 선언이나 사회 각계 대표의 협약만으로 부패가 근본적으로 추방될 것이라고 기대하기는 어렵다. 반부패운동이 실효를 거두려면 보다 구체적인 부패추방 과제 선정과 단계별 실천계획 수립이 이뤄져야 하고,추진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을 통해 미흡한 부분에 대한 보완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관련 법이나 제도가 개선돼야 하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그런 점에서 대통령과 정치 기업 공공부문 시민사회 대표들이 참여하는 '사회협약국민회의'를 구성해 반부패 운동의 실천사항을 지속적으로 점검하자고 한 재계의 제안은 매우 바람직한 방안으로 볼수 있다. 반부패 운동에 앞서 생각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 기업들의 과거 분식회계나 불법 정치자금 등에 연루된 기업인들에 대한 대승적 차원의 정리가 어떤 형태로든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미 재계가 적극적인 반부패 실천을 다짐했고,더구나 어려운 경제여건에서 기업의 투자와 고용확대가 당면 과제임을 감안할 때 더욱 그렇다. 기업이나 기업인들을 과거에 발목잡히게 해 미래의 투명사회를 위해 앞으로 나아가는 길을 가로막는 우(愚)를 범해서는 안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