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미국의 인플레 우려로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공격적인 금리인상을 시사하면서 금융시장 전반에 충격이 예상됩니다. 오늘은 미국 등 주요국가의 금리인상 기조가 우리 통화정책방향과 금융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취재기자와 알아봅니다. [앵커] 차희건 기자..우선 어제 한국은행이 주요국가의 올해 통화정책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는데 어떤 내용인가요. [기자] 한국은행은 어제(5일) "나라별로 정책금리 조정 시기와 폭은 다르겠지만 세계 주요국은 올해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특히 지난해 다섯 차례나 금리를 올린 미국은 달러화 약세에 따른 물가 상승을 우려해 올해도 정책금리를 지속적으로 인상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은은 모건스탠리, JP모건 등 주요 투자은행의 주요국 정책금리 전망을 평균한 결과 현재 2.25%인 미국 연방기금금리는 올 상반기 3%, 연말에는 3.81%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유로지역도 하반기에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중국 역시 올해 안에 추가 인상에 나설 것이라고 분석됐지만 일본만 디플레이션이 끝나지 않을 것이라는 이유로 기존의 통화 정책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진단했습니다. [앵커] 주요 국가의 금리인상 기조에 비해 우리나라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다른 모습을 보였는데 어떤가. [기자] 지난해 유일하게 두차례의 금리인하를 단행한 우리나라는 상반기 중에 한 두차례 금리를 더 내릴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입니다. 한국 상반기 0.5%인하 예상 국내외 경제 전문가들은 올해 한국은행이 최고 0.50%포인트까지 추가 금리인하에 나설 것으로 전망되는데 현재 연 3.25%인 콜금리 목표 금리가 계속 떨어질 경우 한국과 미국 간 금리가 역전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한국만 '독자적 금리인하' 주요 국가들이 경기속도 조절을 위해 금리를 인상하는 동안 우리나라는 경기가 급격히 꺾이는 것을 막기 위해 '독자적인 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높은 것입니다. 한은은 오늘 금통위 정례회의를 열고 올해 우리나라의 통화정책 방향에 대한 보고서를 내놓을 예정인데 추가 인하 전망이 우세, 올해 국내외 금리차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우리나라 금리가 더 내릴 것이라는 징후가 실제 나타나고 있나. [기자] 그렇습니다. 5일 한동안 잠잠하던 주요금리가 일제히 떨어지면서 기준금리가 정책금리수준으로 내려갔습니다. 달러약세가 재현된 연말연초에 국고채 3년물이 3.38%까지 반등을 보이다가 어제 크게 떨어져 3.34%로 내려앉았습니다. 특히 주식시장에서는 건설주가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살아나면서 폭등세를 보여 거래소 지수의 상승반전을 이끌었습니다. 오는 13일 1월의 콜금리를 조정할 금통위가 열리는데 금리인하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지면서 시장이 반응을 보인 것입니다. 더군다나 정부당국의 '벤처활성화 대책'발표에 이어 중소기업 살리기를 표방하는 대통령의 국정연설이 13일로 예정되어 있어 이런 예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일부 시장 전문가들은 최근 추세로 굳혀지는 '코스닥시장 차별적 강세'도 결코 이런 흐름과 무관하지 않다는 지적입니다. [앵커] 국내 금리가 내려가면 좋은 점도 있겠지만 국내외 금리격차가 확대될 경우 악영향도 우려되는데 어떤가. [기자] 한국만 '독자적인 금리 인하'에 나설 경우 국내 투자자금이 해외로 빠져나가는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금리차 확대 '자금유출'우려 국내 경제전문가는 "금리 역전이 현실화돠면 외국인들이 국내에서 돈을 빼 미국으로 옮겨갈 수도 있다"고 주장하면서 "아직은 달러 약세가 진행 중이어서 문제가 없지만 달러화가 반등할 경우 자본 유출이 현실로 나타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국은행 관계자도 "글로벌 경제상황에 맞춰 금리를 조정해야 하지만 우리나라는 내수 부진으로 금리를 올리기 쉽지 않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실제 미국 FRB의 공격적인 금리인상 방침이 알려진 5일 달러화가 급반등하면서 원화환율도 6원이상 급등했습니다. 원달러 환율이 1040원대 저점을 확인하는 중인데 반등기조가 확인되면 이미 국내증시에서 팔아둔 3조원의 투자자금이 이탈하거나 추가로 외국인 주식매도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이에 따라 대부분 국내전문가들은 한국이 금리를 내릴 경우 경기 부양 효과는 크지 않은 가운데 국내 투자자금이 해외 채권시장 등으로 빠져나가는 등 자금의 단기 부동화가 더욱 심해질 수 있어 정책의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차희건기자 hgcha@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