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들 요즘을 '경제학의 혼돈시대(Chaos of Economics)'라 부른다. 이달 들어서도 미국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계속해서 제기되는 속에 주가는 오르고 있다. 이런 현상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고 앞으로 미국 주가는 얼마나 더 오를까. 이 문제를 뉴욕 월가에서 주가예측 이론으로 가장 각광을 받고 있는 조지 소로스의 '자기암시가설'을 토대로 살펴본다. 이미 소개한 바 있는 이 이론의 골자를 다시 정리하면 이렇다. 통상적으로 어떤 국가의 경기가 침체에 빠지면 이때의 주가는 실제 경제여건보다 더 낮게 형성된다(AB). 경기침체로 투자자들의 심리가 '비관'쪽으로 쏠리면서 투자심리가 급격히 위축되기 때문이다. 시간이 지나면 투자자간에는 경제가 개선되고 있다는 견해가 나오기 시작한다. 투자심리도 '낙관'쪽으로 옮겨오면서 주가상승 속도가 경제여건 개선속도보다 빨라지는 1차 소상승기를 맞는다(BC). 이 추세가 지속되면 주가상승이 언제까지 지속될 수 있을지에 대한 궁금증이 생기면서 '낙관'쪽으로 몰렸던 투자자들의 쏠림 현상이 흐트러진다. 결국 향후 주가에 대해 낙관론과 비관론이 얽히면서 조정 국면을 맞게 된다(CD). 만약 경기가 뒤따라 오면 투자자들의 심리가 재차 '낙관'쪽으로 쏠리면서 주가가 1차 상승기보다 더 오르는 2차 상승기를 맞게 된다(DE). 마지막으로 어느 순간 거품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한동안 '낙관'쪽으로 쏠렸던 투자자들의 심리가 흐트러지면서 재차 맴돌이 국면을 맞는다(EF).이때는 금리인상과 같은 위험요인에 투자자들이 과민하게 반응한다. 이 상황에서 경기와 실적이 뒤따라 오면 3차 소상승기를 맞게 된다. 반대로 경기와 실적악화가 지속될 경우 투자자들의 심리가 '비관'쪽으로 쏠리면서 주가는 실제 경제여건보다 더 떨어지는 과잉조정 국면에 직면한다(FG). 현재 미국 경기는 하강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실업률 등 일부 지표가 개선됨에 따라 '일시적인 경기침체 현상(soft patch)'이 끝났다고 보는 시각도 있으나 이런 지표들은 경기가 정점을 지난 후에도 일정기간은 개선되는 후행지표들이다. 유동성도 줄어들고 있다. 거시적으로 쌍둥이 적자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금리인상에 따라 개별 경제주체들의 현금흐름 상황이 악화되면서 서서히 모기지론 등 기존 부채에 대한 부담을 느끼고 있다. 따라서 이달 들어 미국 주가가 오르는 것은 다양한 완충장치에 따른 일종의 착시현상으로 풀이된다. 아직까지 경기둔화의 초기 국면인데다 여전히 풍부한 유동성,달러약세를 통한 쌍둥이 적자 수출,연말 연시의 분위기 등으로 투자자들이 경기둔화,금리인상 등과 같은 위험요인을 체감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미국의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등은 점진적인 금리인상과 달러약세 유도 등 정책조합을 통해 최근처럼 증시기초여건과 주가가 따로 노는 차별화 국면을 계속 유지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주목해야 할 것은 이런 노력이 약화될 경우 투자자들은 악화된 경기와 현금흐름을 체감하기 시작하면서 주가가 큰 폭으로 떨어지는 과잉조정국면에 진입할 수 있다는 점이다. 요즘 들어 주가가 상승한다 하더라도 주식매입에 신중을 기하고 주식매입시 위험관리에 신경써야 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논설·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