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하메드 엘바라데이 IAEA(국제원자력기구) 사무총장 명의로 된 영문 보고서는 한국의 핵물질 실험의 배경설명, 1982년 레이저 이용 우라늄 분리실험, 2000년 플루토늄 추출실험, 신고누락(failure to report), 평가 등 모두 5개 부분으로 구성돼 있다.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A4 용지 8페이지 분량인 보고서의 핵심은 "한국의 핵물질실험은 실험실 규모의 수준이며 소량의 핵물질이 사용됐고, 또 다른 실험이 계속 진행됐다는 징후는 전혀 없다", "한국 정부는 IAEA의 조사에 적극 협조했고 위반사항에 대해서는 시정조치가 취해졌다"는 것이다. 또 구체적인 사실로 "순도 98%의 플루토늄 0.7g이 생성(produced)됐다", "0.2g의 농축 우라늄의 전체 평균 농도는 10.2%였으나 이 가운데 일부의 농도가 77%였다"고 지적하고 있다. 보고서는 IAEA 사찰단이 그간 실시한 3차례의 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된 것으로,실험에 대한 `판단'보다는 조사 내용을 나열하고 있다. 따라서 보고서는 "팩트(사실) 위주로 요약돼 있으며 추출한 우라늄과 플루토늄이 무기급인지 아닌 지에 대한 언급은 물론 의무불이행 여부인 지를 포함해 어떤 판단도 들어가 있지는 않고 `신고누락'에 대해서는 `심각한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는것이 정부측의 설명이다. 정부는 특히 IAEA 보고서가 "또 다른 실험이 계속 진행됐다는 징후는 전혀 없다"고 선언한 데 주목하고 있다. IAEA가 한국에서 보고서에서 지적한 것 외에 "더 이상 다른 케이스가 없다"고 사실상 면죄부를 줬기 때문이다. IAEA가 세 차례 사찰단을 보내 조사를 벌이기는 했지만 전국 방방곡곡을 돌아다닌 것도 아닌데 이 같이 단정은 조사과정에서 우리 정부가 적극 협조와 즉각 시정조치를 다한 것에 대한 일종의 신뢰 표시로 해석하고 있다. 정부는 또 일부 외신에서 "순도 98%의 플루토늄 0.7g이 생성됐다"는 것을 근거로 `무기급 핵물질이 추출됐다'고 보도했지만, "전혀 근거가 없는 오보"라는 입장이다. 실험 당시 조사연료봉을 녹인 7ℓ의 용액을 갖고 있다가 플루토늄 추출 실험에1ℓ를 사용하고 나머지를 폐기했으며, 우라늄과 플루토늄이 섞여 있는 상태에서 추출했을 뿐 최종적으로 플루토늄은 뽑지 않았다는 게 그 이유다. IAEA 보고서는 7ℓ의 용액을 근거로 이론상으로 추출 가능한 플루토늄의 순도와양을 기록하고 있다고 정부는 해명했다. 정부는 농축 우라늄도 (추출과정에서 그 수치가 올라갈 수 있다면서) 전체 평균농도가 갖는 의미가 중요하며, IAEA가 제시하고 있는 평균농도 10.2%는 무기급과는아예 거리가 멀다고 보고 있다. 통상 `무기급 핵물질'이라고 하면 플루토늄은 93% 이상의 농도에 4∼6㎏, 농축우라늄의 경우 90% 이상 순도에 15㎏ 이상이 돼야 한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대신 보고서에 기재된 `신고 누락'과 관련해서는 정부도 깊게 유의하고 있다. 정부는 그간 핵물질 실험이 과학자들의 호기심 차원에서 단발성으로 이뤄진 것이지만 실험과 관련해 신고를 빠뜨린 부분이 있기 때문에 IAEA 최종 보고서에 `신고누락'이 포함될 것을 우려해왔다. 특히 국제사회 일각에서는 `신고누락' 역시 유엔 안보리로 회부해 결백을 입증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어, 25일 IAEA 이사회에서 `별 문제는 없다'는 쪽으로 종결될수 있을지 마냥 낙관하기는 어렵다는 게 정부 내의 전망이다. (서울=연합뉴스) 이 유.인교준 기자 lye@yna.co.kr kji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