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신행정수도 이전이 헌법재판소의 위헌판결로 전면 백지화되면서 올해 연말까지 종합계획이 나올 예정이었던 공공기관 지방이전에도 차질이 빚어질 전망입니다. 기업팀 한익재 기자가 나왔습니다. 한기자. 지난 6월에 건설교통부가 발표한 공기업 지방이전은 어떻게 되는 겁니까? (기자) 아무래도 공기업 지방이전도 연기가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건설교통부 공공기관지방이전지원단은 공공기관의 지방이번은 태생적으로 신행정수도 이전과 연계돼 추진해왔기때문에 신행정수도 위헌발표로 최소 6개월이상 상당기간 연기할수밖에 없게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공공기관지방이전지원단은 당초 수도권내 180개에서 200개에 이르는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키로하고 올 연말까지 종합 이전계획을 발표할 계획이었습니다. (앵커) 공공기관이전계획이 연기되는 구체적인 이유가 있습니까? (기자) 헌재의 수도이전 위헌판결로 신행정수도지원사업단의 계획이 전면 수정이 불가피해졌기 때문입니다. 건교부 공공기관지방이전지원단은 정부의 수정된 행정이관이전 계획이 나오는대로 이에 맞는 공공기관이전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지만 상당기간 연기가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앵커) 공공기업의 지방이전이 시간문제지 결국은 이뤄진다는 얘기네요? 직원들의 반발도 만만찮을 텐데요? (기자) 그렇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에대해 당사자라 할 수 있는 공공기관의 직원들의 반발이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정부투자기관노동연맹의 정종화정책실장은 "정치적인 관점에서 막무가네식으로 공기업을 지방으로 옮긴다면 비용도 비용이지만 공기업 본연의 업무수행 및 설립목적에도 위배되는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만약 옮기게 되면 정부가 여러가지 지원을 해야겠지만 지금은 강제로 옮겨간다는 상황 자체를 납득하기 어려운 상황이기때문에 정부의 지원책이 좋다 나쁘다 판단하는것 자체가 의미가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공기업이 지방으로 이전하더라도 경기 및 수도권본부가 비정상적으로 커지고 주말부부가 급증하는등 사회적인 문제도 예상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정부투자기관 노련측은 정부서비스 노련과 공공건설노련이 통합되면 회원사가 60개이상으로 크게 늘어나며 정부의 강제 이전 정책이 지속된다면 헌법소원도 불사할 계획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앵커) 공기업 지방이전과 관련, 여러 부작용이 예상되는데 이에대한 정부의 대책은 있나요? (기자) 정부의 기본적인 방침은 비용을 최소화하는 선에서 공기업에 대해 최대한 배려를 한다는 것입니다. 건교부는 지방 아파트 분양시 일정비율을 공기업 직원들에게 우선순위를 주고 택지개발시 공기업 필요 부지를 우선분양하는 것등을 얘기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예산과 관련, 공기업 유치를 희망하는 지방자치단체에서 다양한 지원책을 얻어내는 한편 여기에 국고지원등을 통해 마련할 계획입니다. (앵커) 공기업마다 특징이 있는데 이전되는 지방은 어떻게 결정됩니까? (기자) 공기업의 업무수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지역이 우선적으로 고려되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광물 개발을 주업으로 하고 있는 대한광업진흥공사는 강원도로 본사를 이전하는 방안이 유력합니다. 또 한국석유공사는 이리시가 가장 이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변수가 있다면 정부와 해당지방자치단체와의 협상입니다.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공기업이전에 비협조적이라면 공기업을 굳이 그 지역으로 보낼 이유 또한 없기 때문입니다. (앵커) 끝으로 정부의 공기업 이전은 어떻게 진행될 예정입니까? (기자) 정부는 1차 이전대상기관의 경우 연말까지 부지조사등 준비작업이 시작되면 이번부지조성과 건물 신축공사는 2006년~2007년께부터 본격 착수, 2009년~2010년부터는 실제 지방입주가 시작될 예정이었습니다. 이번에 위헌판결로 공공기간 지방이전 연기가 불가피해졌지만 지방이전 정책 자체에 대해서는 열린우리당에서 민노당에 이르기까지 공감대가 형성된 상황이기때문에 단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익재기자 ijhan@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