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지난 28일 저녁 9년만의 금리인상을 전격 단행,긴축기조의 변화를 알리는 신호탄을 쏘아올렸다. 은행 창구지도와 같은 행정수단에 의존했던 긴축수단이 시장친화적으로 바뀌고 있음을 예고했다. 국제금융 시장에선 벌써 "중국의 금리인상 이후"에 대한 각종 전망이 난무한다. 추가 금리인상을 점치는 전문가들이 적지 않은데다 시장친화적인 정책 강화가 위안화 평가절상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번 금리인상은 시기가 전격적일 뿐 예견 된데다 인상폭이 0.27% 포인트(1년만기 예금 대출금리) 로 크지 않아 당장 중국경제에 큰 충격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금리 또 올릴까=중국 인민은행 대변인은 29일 "금리인상은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하는 통화정책수단"이라며 "추가금리인상과 관련한 명확한 일정은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 금리인상만으로 인플레 압력 상승과 부동산 투기 등의 우려를 불식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추가 금리인상을 점치는 서방 경제전문가들이 많은 편이다. 모건스탠리의 앤디 시에 이코노미스는 "내달 미국이 금리를 올릴 경우 중국도 내달말이나 12월초에 금리를 추가인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메릴린치와 씨티그룹도 향후 1년내 1%포인트의 추가 금리인상을 예상했다. CSFB의 동 타오 이코노미스트는 18개월내에 금리가 2~3%포인트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이번 금리인상폭은 실질금리가 마이너스인 상황을 역전시키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1년만기 예금금리가 2.25%로 올랐지만 이자소득세율(20%)와 물가상승률(5.2%)을 감안하면 실질금리는 -3.4%라는 게 신화통신의 분석이다. 위안화 평가 절상되나=미국 재무부의 존 테일러 차관은 "금리인상이 위안화 변동환율제를 채택하기위한 전주곡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금리인상이 중국 정부가 시장친화정책을 받아들인 신호라는 점에서 환율자유화와 맥이 닿는다는 것이다. 이에따라 위안화 절상 전망이 또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메릴린치는 "올해말이나 내년 초 위안화 가치가 10%정도 절상될 것"이라며 "위안화 절상은 인플레 압력을 차단하는데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반대 시각도 만만찮다. 중국 정부가 인플레 억제를 위한 수단으로 고민해온 금리인상과 위안화 절상 카드 가운데 일단 금리를 택했기 때문에 당분간 위안화 절상 가능성은 수그러들었다는 지적이다. ABN암로는 "금리인상이 위안화 절상압력을 억제할 것"이라며 "금리 자유화가 내년 중국경제 운용 카드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부동산 투기 과열 잡힐까=이번 금리인상은 고급주택 보다는 중저가 주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상하이 재경대학 부동산연구센터 인화 교수는 "금리인상으로 부동산대출 상환액이 한달 3천 위안일 경우 실제 추가 비용부담은 한달 1백위안 정도에 그칠 것"이라며 "이자 부담에 민감한 저급 아파트 매입자가 다소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 시장분석가는 "이번 금리인상의 가장 큰 목표는 부동산 투기 억제"라며 "그러나 0.27%포인트로는 효과가 적어 추가적인 부동산안정 대책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내수 일부 위축 될 듯=LG전자 중국지주회사의 최만복 부사장은 "금리인상은 시중의 자금을 조이는 효과를 낳게된다"며 "구매력 감소에 따른 판매위축이 걱정된다"고 말했다. 특히 부동산 수요가 줄어들 경우 가전제품과 인테리어용품 등의 수요도 덩달아 감소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상하이=한우덕,베이징=오광진 특파원 woody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