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교장 및 진학담당 교사 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교육부가 주관한 `성적 부풀리기 방지 대책' 간담회에서는 학교현장에서 겪는 어려움과 불만이 쏟아졌다. 또 국가가 문제은행식으로 평가문항을 개발해 제공해야 한다거나 수시모집을 없애든가 2학기에만 실시하거나, 또는 대학이 평어를 쓰지 못하도록 제도화해야 한다는 등의 제안도 나왔다. 한 교사는 "문제은행식으로 국가 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상.중.하 수준에맞춰 평가문항을 개발해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시험문제를 내면 부풀리기도 없어지고 지역별.학교별로 다른 난이도에 대한 보완도 되지 않겠느냐"고 제안했다. 다른 교사는 "고교 정상화라고는 하지만 고3생은 수능 위주로 수업을 하며 대입수시전형의 경우에도 고교정상화보다 대학에 일방적으로 끌려간다"고 토로했다. 한 교장은 "교육부가 학업성적관리 지침을 명확하게 내려줘야 교사평가제도 되고, 교권도 보호되며, 공부를 열심히 가르치고도 시험문제를 어렵게 내거나 엄격히성적을 매기는 교사가 차별을 받는 현실도 타개된다"고 말했다. 충남에서 근무한다는 한 교사는 "개인이나 학교간 능력 차이는 인정해야 하지만논술이나 인.적성검사, 수능에서 반영되지 않느냐"며 "실기교과나 수능 제외 과목을위주로 성적 부풀리기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일부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심각하지는 않다"고 주장했다. 또다른 교사는 "여러 유형의 학생과 고교, 예컨대 특목고나 명문고를 배려하는것도 필요하다"며 "그런 점에서 특기자 전형, 지역할당제, 정시모집 등으로 다양화한 서울대의 전형이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수시1학기 전형을 폐지해야 한다는 등의 제안도 나왔다. 한 교사는 "수시 합격자가 발표되면 30% 가량의 학생이 수능시험을 포기하고 다른 학생 성적도 내려간다"며 "영역별 및 선택과목별 반영 방법도 제각각이어서 지나치게 대학 편의 위주로 끌려가는 게 아니냐는 생각이 든다"고 토로했다. 또 "대학이 석차백분율을 반영하고 동석차는 중간석차를 부여하되, 평어를 쓰지못하도록 제도화해야 해야 한다"며 "절대평가에 대한 문제점이 여러차례 지적됐는데도 이제 와서 모든 책임이 고교에 떠넘겨지고 있어 억울하다"는 반응도 나왔다. "학력고사식으로 전국 단위의 교과 모의고사 성적을 내신으로 반영하자", "당장내년부터 상대평가와 절대평가를 혼합한 새 대입안을 적용하자", "고교평가제를 실시하자"는 등의 제안도 쏟아졌다. 한 특목고 교사는 "80% 이상의 학생에게 `수'를 주는데, 이는 우리 학생이 다른학교에서 평가를 받거나 전국평가를 받으면 그 정도는 될 것이기 때문"이라며 "학생들이 손해보지 않도록 하는 것일 뿐 잘못했다는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내신에서 불이익을 받는다면 수능에서 만회해야 하는데 수능 등급을 보다세분화해 변별력을 높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강의영 기자 keyke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