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신문이 오늘로 창간 40주년을 맞았다. 돌이켜 보면 지난 40년동안 1인당 국민소득 1백달러,연간수출 1억달러 시대에서 1인당 소득 1만달러,수출 2천억달러 시대로 바뀌었다. 굳이 더 많은 경제지표를 열거하지 않더라도 엄청난 압축성장이고 눈부신 성과임은 쉽게 알 수 있는 일이다. 여기에는 알찬 경제정보의 전달과 시대를 앞서가는 정책대안의 제시로 시장경제의 기틀을 다지는 데 앞장서 온 한국경제신문의 역할도 적지 않았다는 점에서 새삼 자부와 긍지를 되새겨 본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위기적 상황에 직면한 우리경제의 현실 앞에서 답답하고 착잡함을 떨쳐버리기 어려운 것 또한 사실이다. 정치 경제 사회 등 각 분야에서 진보와 보수로 나뉘어 갈등과 반목이 벌어지고 있고,국론분열이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다. 그러는 사이 기업활력은 떨어지고,기업가정신은 쇠락을 면치 못하는 지경이 됐다. 우리 경제가 벌써 노화현상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국민소득 1만달러에서 한발짝도 나가지 못하고 정체상태를 보이고 있는 것이 벌써 10년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일의 한국경제를 이끌어갈 성장동력이 무엇이고,새로운 국부를 창조해 나갈 이론과 규범이 무엇인지조차 혼돈스럽고 불확실한 상태로 빠져 버린 지금의 시대상황은 정말 걱정을 넘어 불안으로 다가오고 있다. 과연 이대로 방치해도 되는 것인가. 지금 우리 모두가 스스로 반성하고 각오를 새롭게 다질 때가 아닌가 싶다. 우리가 지향해야 할 경제이념과 규범은 두말할 나위도 없이 자유시장경제의 창달이다. 기업들이 자율과 창의,그리고 도전을 키워드로 변화와 혁신을 주도해 나갈 때 국부가 쌓이고 풍요로운 미래를 열어갈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의 현실은 거꾸로 가고 있다. 반기업정서가 팽배하고 때이른 분배욕구의 분출로 인한 성장에너지의 낭비가 이만저만한 게 아니다. 기업활동을 지원하고 고무 격려해야 할 정부는 오히려 규제강화로 발목을 잡고 있고,국가발전의 환경 조성에 진력해야 할 정치권은 당리당략에 파묻혀 이미 구시대의 유물로 퇴장한 이념논쟁으로 시간을 보내면서 사회갈등을 증폭시키고 있다. 개혁이란 이름아래 기업투자활동까지 제한하는 규제,그리고 친노조정책 등은 오히려 기업의욕을 꺾고 성장잠재력을 훼손시키고 있다. 실패한 유럽식 사회주의 모델을 추구한다는 좌파주의 논란으로까지 비화되면서 시장경제의 정체성마저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시계바늘을 거꾸로 돌릴 수는 없는 일이다.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사상과 이념은 한치도 양보할 수 없는 우리의 절대적 생존요건이기도 하다. 물론 과거의 고도성장이 지름길로 달려 온 만큼 그에 따른 부작용도 적지 않았다. 그로 인해 왜곡된 경제구조와 불평등의 시정도 어느 정도 필요한 것은 사실이다. 다만 이는 경제성장과 발전의 원동력을 약화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뤄져야만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왕성한 기업가 정신이나 개인의 창의력이 최대한 보장되고 고양되어야 한다. 더구나 지금은 세계가 하나의 시장이다. 경쟁 상대는 국내기업이 아니라 세계기업들이다. 기업들이 역량껏 뛸 수 있는 제도적 여건 정비와 규제의 개혁,합리적 노사관계의 설정이 무엇보다 시급한 것이다. 국부축적에 대한 국민적 합의를 바탕으로 정부 기업 근로자 등 모든 경제주체들이 에너지를 한데 모아야 한다. 그것이 보다 성숙된 시장경제로 가는 정도라고 우리는 규정하고 싶다. 그렇지 못하면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분배의 개선도 기대하기 어렵다. 이를 위해서는 갈등과 분열,그리고 사회적 욕구의 분출이 대화와 타협을 통해 적절히 절제되고 조화를 이루는 국민적 합의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어야 한다. 이를 실현하는 것은 정치지도자들을 비롯한 사회지도층의 책임이자 의무다. 지금 우리는 역사적 전환점에 서 있다. 자칫 잘못하다간 경제의 활력이 사라지고 무기력한 사회로 전락할 가능성도 크다. 때문에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우리가 추구해야 할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창달이라는 국가발전의 이념을 보다 확실하게 다지고 그에 걸맞은 전략과 수단을 재점검하는 일이다. 한국경제신문은 창간 40돌을 맞아 그러한 국가발전의 전략적 과제를 이뤄내는데 누구보다 앞장서겠다는 각오를 새롭게 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