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통화위원회의 콜금리 인하결정에 대해 대부분 민간 경제연구소 전문가들은 "정부가 경기회복에 팔을 걷어붙였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지만 실질적인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각에서는 오히려 국내 금융자산의 상당부분을 갖고 있는 고령자들의 노후 불안감을 촉발시켜 오히려 내수가 더 부진의 늪에 빠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오문석 LG경제연구원 상무는 "지금은 콜금리를 내려 수요를 진작시킬 수 있는 상황이 아니고 금통위도 그런 의도에서 금리를 내리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다만 그동안 경기에 대한 민간과 정부의 인식차가 좁혀졌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시중자금을 채권시장으로 몰리게 만들어 금리구조가 왜곡될 수 있다는 점을 걱정거리로 꼽았다.

전문가들은 경기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선 "기대하기 힘들다"고 입을 모았다.

노진호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현재의 경기불황은 구조적인 문제에서 파생됐기 때문에 금리를 낮춘다고 회복되진 않는다"며 "오히려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자금이 수시로 이동하는 '단기부동화' 현상만 부추겨 금융시장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연구원은 아예 "긍정적인 효과는커녕 되레 내수침체의 골만 깊게 할 것"이라고 단언했다.

그 이유로 우선 국내 경제가 통화정책을 펴도 경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유동성 함정'에 빠져 있다는 점을 꼽았다.

금리가 높아서 투자를 안 하거나 소비를 줄이는 건 아니라는 설명이다.

오히려 구매력이 큰 50대 이상의 노후불안감을 증폭시켜 내수회복에 걸림돌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일본이 10년간 장기불황을 겪게 된 원인 중 하나도 금융자산의 60% 이상을 소유했던 고령자들이 제로(0)금리 상황에서 소비를 극단적으로 줄였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