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간 지속됐던 한미은행 파업 사태의 최대 피해자는 씨티그룹이나 노조가 아니라 한국 정부라고 파이스턴이코노믹리뷰(FEER)가 22일 보도했다.

FEER는 한국에서는 낯익은 일인 파업 사태가 자산가치를 떨어뜨리고 외국인으로하여금 투자를 꺼리도록 만들며 한국 경제의 추가 개방 계획을 혼란에 빠뜨린다고지적했다.

이어 서울을 동북아 금융서비스 허브로 변모시키고자 하는 한국 정부의 야심찬계획은 여전히 `꿈'에 머물고 있으며 한미은행 파업 사태는 은행가들에게 왜 꿈에지나지 않음을 상기시켜주었다고 부연했다.

한국 정부는 금융시장내 씨티그룹의 존재가 확장됨에 따라 국제 표준의 은행시스템 창출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외국 투자자들은 경직된 노동 관련 법률과 투쟁적 노조, 높은 임금 상승률이 이른바 `코리아 디스카운트'라 불리는, 자산가격 하락을 야기하고 신규 투자를꺼리게 만든다고 오래 전부터 경고해 왔다.

이에 따라 외국 은행가나 은행 분석가들은 노동 및 규제 환경에 획기적인 변화가 없으면 `금융 허브' 아이디어는 몽상에 지나지 않을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미국 뱅크원의 스테판 제임스 서울지점장은 "이런 문제들(노동 및 규제 환경)이가치평가를 저하시킬 것이며 개혁 없이는 한국이 금융 허브 창출이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고 충고했다.

FEER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국 PCA가 대한투자증권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고 AIG, JP모건, 골드만삭스, 칼라일그룹 등이 자산운용사 매입 의사를 보이는등 외국 투자자들은 여전히 한국 금융자산에 관심을 갖고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이들 외국 투자자는 금융 허브 `꿈'을 실현하고자 한다면 노조에 엄격하게 대응하고 노동시장 개혁에 신속하게 나설 필요가 있다는 메시지를 한국 정부에보내고 있다고 FEER는 거듭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영묵기자 economan@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