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李明博) 서울시장은 지하철 파업과 관련21일 "당장 불편하더라도 무리한 노조 주장을 들어주는 악순환이 더 이상 반복되어서는 안된다"며 노조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시장은 박명현 서울시 대변인을 통해 "노조측이 주 40시간 근무제 도입을 기점으로 무리한 인력 증원 및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 시장은 "지하철 노조가 파업의 이유가 될 수 없는 이라크 파병반대도 내세우고 있고, 직권중재 기간에는 파업을 할 수 없다는 법의 원칙을 무시하고 있다"며 이번 파업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 시장은 "서울 지하철은 지난 한해만도 6천230억원의 적자를 내는 등 경영상태가 악화돼 시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재정을 크게 압박하고 있다"며 "이런 상태가계속되면 서울시민, 나아가 국민 모두에게 부담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파업에 참가한 노조원에 대해 "노조 여러분이 파업 이유로 내세운 요구 조건을 되새겨 보라. 시민의 재산인 서울 지하철은 노조와 사용자가 따로 있을수 없다"며 "하루빨리 업무에 복귀할 것"을 촉구했다.

이 시장은 시민들에게 "버스체계 개편으로 불편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지하철파업까지 겹쳐 송구스러운 마음 금할 수 없다"며 "다소 불편하시더라도 올바른 노사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이해와 협조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창욱 기자 pc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