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근태(金槿泰) 신임 보건복지부장관의 복지 행보에 관심이 쏠린다. 유력한 차기 대권후보로서 `행정 수업'의 성격이 강한 때문이다. 실제 복지부내에서도 기대와 우려가 교차한다. 복지부 장관의 이력이 김 장관의 향후 정치 가도에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게 중론(衆論)이다. 당초 김 장관은 복지부장관 기용에 강한 거부감을 내비쳤다. 복지부의 업무 성격상 차기 주자군의 경력 관리에는 부적합하다는 시각이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부처인 데다 이해당사자간 대립이 첨예하게 맞서 '잘해야 본전'이라는 지적까지 나왔다. 지금까지 많은 정치인들이 복지부장관직을 거쳐갔다. 손학규(孫鶴圭) 경기지사,김원길(金元吉) 전 의원, 서상목(徐相穆) 전 의원 등이 대표적 케이스다. 논공행상이 가미된 이른바 `낙하산식' 투입이다. 이같은 정치인 장관에 대한 평가는 두 부류로 나눠진다. 일단 조정과 절충력에서 후한 점수를 받고 있다. 또 폭넓은 정치적 자산을 토대로 청와대나 국회, 타 부처와의 대외 업무에서 돌파력을 발휘한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기억된다. 반면 정치 논리에 휘둘리거나 지나치게 여론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약점도 갖고 있다. 김 장관의 경우 `실세 장관'으로서 복지부를 정책 우선 자리에 놓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참여 정부 출범 이후 `분배'에 무게를 두면서 복지부의 역할이 확대되는 추세여서 정책 기조를 어떻게 잡아나갈지도 주목된다. 당장 국민연금법 개정안 처리와 약대 6년제 진통, 불량만두 파문 이후 식품안전보장을 위한 법.제도 정비, 담뱃값 인상 등 국민 이해와 직결된 민감한 사안들이 산적해 있다. 김 장관으로선 이들 현안이 첫 시험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잘 대처할 경우 기대 이상의 효과를 얻어 차기대권후보로서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다. 그러나 잘못 대처할 경우 `치명적 상처'가 될 수도 있다. 복지부 주변에선 김 장관의 과거 성향상 진보적 정책 관점이 득세할 가능성을 점치기도 한다. 이런 대목에서 일각의 우려가 제기되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대해 김 장관을 잘 아는 고위급 인사는 "김 장관의 신중한 성격에 비춰 무리하게 접근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기존 관성을 인정하면서 점진적인 개혁을 택하는 방식을 취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서울=연합뉴스) 황정욱기자 hj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