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 차단사태가 `악몽의 30시간'이 된 것은가변차로제 및 회차로 확보 등 대안마련 실패, 정부와 관계기관의 늑장대응과 인력.장비 추가투입 지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빚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 구호품 지급 등에도 상당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으로 지적됐다. 충청권 폭설로 고속도로 정체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 5일 오전 7시전후. 남이분기점 부근에서 차량이 미끄러져 엉키면서 도로상황은 빠른 속도로 악화됐다. 그러나 한국도로공사는 7시간이 지난 이날 오후 2시에야 고속도로 차단방침을발표했다. 이렇다 보니 차단구간 내에는 사전정보를 갖지 못한 1만여대의 차량들로가득찼고 제설장비를 동원한 눈치우기 작업도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 돼 버렸다. 이후 제설작업이 진행되면서 인력.장비 추가 투입에도 문제점을 드러냈다. 정부가 군.경.소방인력을 가능한 범위에서 최대한 동원해 조기에 고속도로 정체를 해소하기로 결정한 것은 상황발생 하루뒤인 6일 오전 고건총리 주재 폭설관련 관계장관회의에서였다. 고속도로 차단당일 도로공사가 자체 보유하고 있었던 제설장비는 대전.천안.논산.진천.영동.무주 등 충청권 6개 지사가 가지고 있던 114대와 경남.경북.수도권일부 지역에서 긴급 지원된 42대를 포함해 156대. 나머지 장비들은 제설작업 진행과정에서 민간이나 군 등에서 지원된 것이라고도로공사는 밝혔다. 조기에 정부차원의 조직적인 인력과 장비지원이 있었다면 상황이 이처럼 악화되지는 않았을 것이란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시민 송모씨는 인터넷 게시판에 올린 글에서 "한심한 나라에 살고 있다는 것이 원망스러운 적이 한두번이 아니다"라면서 "눈은 올 수 있다. 하지만 24시간이 지나도 고속도로 하나 소통시키지 못하는 정부, 도로공사는 뭣들하고 있는 거냐"고 분노했다. 1만여대의 차량이 고속도로에 고립된 상황에서 정부나 관계 기관이 고립 주민들이 조기에 이런 상황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생각했어야 하는데 적절한 대안을 마련하지 못했다는 비난도 제기됐다. 정부가 정체구간 가운데 상.하행선이 동시에 정체되지 않은 구간에서 반대 차선을 가변차선으로 운영키로 한 것은 지난 6일 오후. 이미 고립객들이 만 하루가 넘는 고립상황에서 지칠대로 지친 뒤였다. 또 중앙분리대를 뚫어 회차로를 마련해 달라는 고립객들의 잇단 요구에 정부와해당기관이 반응에 나선 것은 4-5시간여가 지난 5일 오후 7시 전후였고 이마저 안전상의 이유로 회차로를 개방할 것이냐, 말것이냐를 놓고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였다. 회차로가 4개에서 9개로 확대돼 본격적인 회차가 이뤄진 것도 하루뒤 상황이다. 고립객들은 당시 음료와 식사, 모포 등 구호품 지급과 상황설명 등에도 체계가전혀없어 혼란을 가중시켰다고 지적했다. 한 고립객은 "12시간만에 1.5㎞를 이동해 휴게소에 진입했는데 먹을거리도 동이나고 현장을 통제하는 공무원이나 경찰도 없이 혼란한 상황이었다"면서 "상황이 얼마나 심각했는 지를 제대로 파악했어야 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류성무기자 tjdan@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