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는 최근 한국정부가 역외선물환(NDF) 시장에서 달러 선물 매입을 규제한데 대해 수출 증대를 위해서는 원화가치 상승(환율 하락)을 막아야 한다는 기존 사고에 젖어 있는 관료들의 잘못된 시장개입이라고 비판했다. 익명을 요구한 월가의 한 헤지펀드 관계자는 17일 "한국은 돈의 흐름에 억지로 영향을 주는 것은 실패한다는 사실을 1997년 말 외환위기 때 경험했다"며 "원화에 대한 전체적인 기대수익률을 낮추지 않고 직접 외환시장을 규제하는 것은 성공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원화가치가 오르는 것은 한국 금리가 미국 등 선진국보다 높아 원화가치가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됐기 때문"이라며 "금리를 낮추지 않으면서 환율까지 직접 통제하려는 것은 곤란하다"고 말했다. 그는 "금리와 환율을 다 잡으려면 장기적으로 성공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웰스파고은행의 손성원 수석 부행장도 "원ㆍ달러 환율은 수요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며 "인위적인 규제는 조정기간만 연장할 뿐"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정부가 직접 시장에 간섭하는 것은 좋지 않다"며 "조정이 필요하다면 빨리 하는게 더 낫다"고 덧붙였다. 다른 관계자는 "환율 방어를 위해 외환보유액을 많이 쌓다가 한계에 부딪치자 직접 규제로 돌아선 것 같다"고 분석했다. 그는 "NDF 시장 규제는 이런 일을 예상했던 금융회사에 부당한 이득을 안겨줄 수 있다"며 규제의 부작용을 지적했다. 윤영관 전 외교부 장관의 경질에 대해서는 한ㆍ미 관계를 복잡하게 만들 우려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한국경제에 대한 평가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풀이했다. 손 부행장은 "미국과 한국이 정치 경제 모든 면에서 가까워지길 기대하는 미국사람들로선 외교 노선을 둘러싼 갈등으로 장관이 경질된데 대해 기분이 좋을리 없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미국은 북한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겠다는 원칙을 세운 만큼 외교부 장관 경질이 한ㆍ미 관계에 큰 문제는 안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S&P에서 한국 국가신용등급을 담당하고 있는 존 체임버스 전무는 "외교부 장관의 경질 정도로 한국경제에 대한 평가가 달라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한국의 신용등급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외교부 장관 경질은 신용등급 변수에 관한 한 Non-event (아무 일도 아님)" 라며 "국가 채무상환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아니라면 재무부 장관이 경질돼도 별일 아니다"고 설명했다. 체임버스 전무는 반기문 신임 외교부 장관에 대해 "영어를 잘하고 외교 경험이 많은 데다 노무현 대통령과도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 적절한 선택인 것 같다"고 평가했다. 뉴욕=고광철 특파원 gw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