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국회에서 `대통령 측근비리 의혹 특검법'이재의결됨에 따라 `양길승 전 청와대 제1부속실장 향응사건'과 관련해 그동안 제기된양 전 실장의 금품수수 등 각종 의혹이 명쾌하게 규명될 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있다. 특검 실시를 앞두고 양 전 실장 향응파문과 검찰 수사 상황, 핵심 의혹 등을 되짚어 본다. ◆사건 경위 및 검찰 수사 사건은 대통령 최측근인 양 전 실장이 조세포탈 및 윤락행위 방지법 위반 등의혐의로 검.경의 내사와 수사를 받아오던 K나이트클럽 실질적 소유주 이원호(50.구속)씨로부터 지난 6월 28일 수백만원대의 향응을 받은 사실이 지난 7월 31일 일부 언론에 공개되면서 불거졌다. 같은 날 양 전 실장 일행에 대한 `몰카' 비디오 테이프가 방송되면서 파문은 걷잡을 수 없이 커졌고 양 전 실장은 명예를 훼손당했다며 즉각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이에 따라 청주지검은 지난 8월 2일 차장검사 등으로 구성된 특별 전담팀을 구성해 수사에 착수한지 10여일만인 지난 8월 13일 이씨를 조세포탈 등의 혐의로 긴급체포했고 이튿날 김도훈(37) 전 청주지검 검사는 `검찰내 이씨 비호세력 존재 의혹'을 제기, `검사들의 진실게임' 공방으로 번졌다. 파문이 확산되자 대검은 지난 8월 17일 수사가 진행 중임에도 이례적으로 감찰반을 파견해 김 전 검사와 언론이 제기한 각종 의혹을 조사한 뒤 나흘뒤인 21일 사실무근인 것으로 결론내렸다. 한편 같은 날 청주지검은 술자리 참석자들의 통화내역 조회 등 `저인망식' 수사를 통해 김 전 검사가 자신이 기소중지한 홍모(43.구속)씨 부부를 시켜 `몰카'를 촬영하고 홍씨 부부 등으로부터 뇌물을 받은 혐의로 김 전 검사를 구속했다. 그러나 김 전 검사의 변호인단은 "검찰이 물증없이 사건 관련자들의 진술만으로전 검사를 구속한 것은 이해할 수 없다"며 검찰 수사 결과에 크게 반발했다. 김 전 검사는 구속적부심을 통해 지난 9월 4일 석방됐다. ◆특검이 풀어야 할 핵심 의혹 ▲양 전 실장 금품수수 의혹 특검이 풀어야할 최우선 과제는 양 전 실장이 이씨로부터 금품을 받았는 지 여부를 밝혀내는 것이다. 사건 초기부터 한나라당 등 일부 정치권과 이 지역 시민단체들은 이 사건의 핵심은 누가, 어떤 목적으로 양 전 실장에 대한 몰카를 찍었는가가 아니라 검.경의 내.수사를 받고 있던 이씨가 양 전 실장에게 수사 무마 청탁을 하면서 실제로 금품을건넸는 지 여부라고 주장했다. 술 파문 전날 충북지방경찰청으로부터 압수수색을 당하는 등 수사망이 옥죄어오고 있다는 것을 눈치 챈 이씨가 구명을 위해 대통령 최측근에게 단순히 향응만 제공하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게 이들 주장이다. 이 같은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됨에 따라 검찰은 최근까지 이씨와 양 전 실장 등을 잇따라 소환 조사하는 한편 이씨 주변 인물 등 사건 관련자 40여명의 계좌 등을추적해왔으나 현재까지 별다른 단서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씨가 술파문 닷새 뒤인 지난 7월 3일에도 서울 모 일식집에서 양전 실장에게 사건 무마 청탁을 한 사실이 최근 밝혀져 그의 금품수수 의혹 불씨가되살아나고 있다. ▲`검찰내 이씨 비호세력 존재' 의혹 이씨의 갈취 및 살인 교사 의혹을 수사해왔던 김 전 검사는 `몰카' 사건 수사가한창 진행되던 지난 8월 14일 `검찰내 이씨 비호세력 존재' 의혹을 처음 밝힌 데 이어 석방된 뒤에는 `일기 형식의 수사 메모'를 통해 `이씨의 정치자금 제공설' 등 각종 의혹을 추가 제기했다. 김 전 검사는 또 지난 9월 30일 청주지검 국정감사에서도 증인으로 나서 이 같은 주장을 되풀이했고 일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도 `대통령은 두렵지 않았으나 조직내부의 압력은 견디기 어려웠다"고 밝혔다. 실제로 1998년 이씨를 구속했던 재경지청 A검사가 지난 1월과 5월 K나이트클럽에서 이씨를 만난 것과 서울고검 A검사가 지난 7월 3일 이씨와 양 전 실장의 회동에동석한 사실이 잇따라 밝혀지기도 했다. 이 지역 시민단체 등은 이씨가 이처럼 광범위한 검찰 인맥을 구축한 점과 이씨에 대한 김 전 검사의 수사가 잇따라 좌절된 점 등으로 미뤄 검찰내 `보이지 않는힘'이 수사를 방해한 게 아니냐는 의혹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특검이 검찰이 밝혀내지 못한 새로운 사실을 끄집어낼 수 있을 지에 관심이 모아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청주=연합뉴스) 윤우용 기자 ywy@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