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대체 어쩌자는 것인가. 올들어 잇단 파업으로 경제를 깊은 수렁으로 밀어넣었던 노동계가 또 파업에 나서겠단다. 나라경제는 안중에도 없는 막가파식 노동운동에 말문마저 막힐 지경이다. 민주노총은 사용자측의 손해배상소송 및 가압류를 철회하라고 요구하면서 6일 시한부 파업,12일 총파업이라는 투쟁 일정을 예고해 놓고 있다. 현대차 등 일부 산하노조는 이미 찬반투표를 실시했고 대우조선해양 노조는 투표없이 파업에 동참키로 했다. 한국노총도 이달중 대규모 전국노동자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두산중공업 철도 조흥은행 화물연대 현대자동차 등 올해 내내 이어진 줄파업으로 경제가 외환위기 이후 최악의 상황에 빠져있는데 또 총파업이라니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최후의 투쟁수단이라고 봐야 할 파업이 이렇게까지 남용돼도 괜찮은 것인지 의문이 아닐 수 없다. 정책이 분위기에 따라 오락가락 하는 것도 큰 문제다. 근로자들의 자살사태를 계기로 정부는 사용자의 손해배상청구 및 가압류를 제한하는 방안을 다시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는 파업을 더욱 부채질하는 결과만 낳을 가능성이 크다.또 기본적으로 손배·가압류 문제는 사법부에 맡겨야지 정부가 왈가왈부할 성질의 것도 아니다. 노조가 불법행동으로 회사에 손해를 끼쳤다면 이를 배상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인만큼 사법부에서 판단하는 배상결정을 그대로 따르면 될 일이다. 과격 노동운동이 계속되면서 기업들은 투자를 기피하고 외국자본 역시 한국시장을 외면하고 있다. 이는 일자리 감소라는 형태로 부메랑이 되어 노동계로 되돌아오고 있다.업무와 직접적인 관련도 없는 일로 총파업을 벌이고 강경투쟁만 외쳐서는 투자가 개선될 리 없고 나라경제의 미래가 있을 리 없다. 노동운동도 이제 꺼풀을 벗고 한단계 발전하지 않으면 안된다. 정부 역시 정책을 수시로 바꾸면 혼란을 부채질할 뿐이라는 사실을 명심하고 항상 일관성을 유지해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