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력 구조조정은 필수적이지만 사기 저하, 노사 갈등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견해가 제기됐다. 삼성경제연구소는 29일 `인력 구조조정의 부작용과 극복 방안'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기업들이 생존을 위해 감원을 단행하고 있지만 이를 빈번하게 반복하는 것은 상당한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구조조정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는 단기에 그치는 반면 사기 저하, 경쟁력 약화등 장기적 손실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인력 감축의 본산인 미국에서도 감원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고 밝히고 특히 종업원 사기 하락에 따른 생산성의 동반하락에 대한 우려감이 큰 상태라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외국 기업의 구조조정 사례로 도요타, 닛산, IBM, 제너럴 일렉트릭(GE)등을 들고 국내 기업의 경우 감원 대신에 강도 높은 내부 혁신으로 위기를 타개한 도요타 모델이 이상적이나 기업과 종업원간의 신뢰가 약화돼 있기 때문에 실현이 쉽지 않을 전망이라며 GE나 IBM 모델을 현실적인 대안으로 추천했다. GE의 경우 대량 감원 후 성과가 부진한 종업원을 냉정하게 퇴출시키는 방식으로 생산성 향상을 이뤄냈으며 IBM은 대량 감원 후 상시 구조조정 체제로 긴장을 유지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보고서는 위기 상황에 처한 국내 기업들이 구조조정을 피해갈 수는 없으며 선제적으로 이를 실시해야 생존을 보장받고 부작용도 줄일 수 있다고 진단하고 철저한 구조조정이 감원의 반복 고리를 끊을 수 있는 최선의 대안인 만큼 퇴직, 재배치, 교육, 아웃소싱 등의 인력 효율화 방안을 광범위하게 동원해 인력 구조조정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특히 `구조조정=감원'이라는 안이한 발상에서 벗어나 궁극적으로 인력 구조조정을 기업의 시스템으로 정착시키고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체질화하는 노력이 전개돼야 한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한편 삼성경제연구소가 지난 21일 140개 기업의 최고경영자(CEO) 및 고위 임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조사 대상 기업의 32.9%가 금년에 인력 감축을 이미 실시했거나 앞으로 실시할 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응답자의 94%가 인력 감축이 수익성에 도움이 된다고 답하는 등 인력 구조조정 효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감원에 따른 부정적 효과가 더 컸다는 답변은 16.9%에 그쳤다. 인력 감축에 따른 후유증으로는 ▲종업원 사기 저하 65.1% ▲우수 인력 유출 15.7% ▲노사 갈등 7.2% 등이 제시됐다. (서울=연합뉴스) 권정상 기자 jusa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