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노조가 정면충돌 양상을 보이며 자칫 장기화 조짐을 보이던 철도파업 사태가 급반전 조짐을 보이고 있다. 노조가 `선복귀-후협상'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노조원 찬반투표를 실시키로 했기 때문이다. 철도파업 사흘째인 30일 오후까지도 노정이 별다른 대화의지를 보이지 않아 사태가 장기화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됐으나 노조집행부의 이런 결정으로 철도사태는 해결국면으로 가닥을 잡은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우세하게 제기되고 있다. ◆입장선회 배경 = 노조의 이런 입장선회는 파업장기화에 따른 시민불편 등으로여론의 시선이 곱지않다는 점이 큰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관측된다. 또 정부의 `예상밖' 강경대응 분위기도 노조로서는 부담스러운 부분이다. 노조의 지속적인 대화요구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정부가 먼저 대화를 제안하는일은 없을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또 철도노조의 파업선언과 동시에 `원천봉쇄' 방침을 밝히고 파업현장에 경찰력을 투입했고 `부당한 집단요구와 불법 집단행동에 대해서는 반드시 처벌받는 선례를만들겠다'며 업무복귀명령 거부 노조원에 대해 이례적으로 전원 중징계 방침을 밝혔다. 이같은 정부의 초강경 방침은 철도노조로서는 미처 예상치 못했던 상황. 정부의 원칙대응 방침이 완강해 `얻을 것은 없는 상황'에서 무작정 `백기투항'하기도 어려운 상황이어서 여러모로 당혹스러웠던 것이 사실이다. 또 철도노조가 파업의 명분으로 내세운 철도산업발전기본법과 한국철도시설공단법이 30일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점도 노조의 입지가 약해진 배경이다. 관련법이 통과된 상황에서 더 이상 파업을 계속하기는 명분이 약화된 것이 아니냐는 주장들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사태해결 전망 = 노조는 7월 1일 오전 10시 전국 8개 지방본부별로 총회를 소집, 파업철회 여부에 대한 찬반투표를 실시해 11시쯤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노조는 투표결과에 따라 `선복귀-후협상'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로서는 노조집행부 내부에서도 찬반양론이 팽팽한데다 일부 강성노조원의경우 파업강행을 주장하고 있어 투표결과에 대한 전망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나 정부의 강경 징계방침에 대한 노조원들의 동요가 일부 현실화되고 있는상황이어서 사태해결쪽으로 가닥을 잡는 것이 아니냐는 전망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있다. 한편 노조쪽이 선복귀 쪽으로 결론을 내려 사태가 해결쪽으로 가닥을 잡더라도연금승계 등 노정간 첨예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는 현안과 관련된 입장조율은 과제로남게될 전망이다. ◆철도운행.노조원 중징계 향방 = 철도노조가 관측대로 7월1일 파업을 철회하게되더라도 노조원들이 파업과정에서 피로가 누적돼 안정기간을 거쳐 본격 현업에 투입되기 위해서는 며칠간의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수도권전철을 비롯한 지역간 열차, 화물열차 등의 수송은 노조가 파업철회로 결론을 낼 경우 단계적으로 운송률이 늘어날 것으로 보이지만 완전 정상화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2-3일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 정부가 직위해제키로 한 노조간부 121명과 업무복귀 명령에도 불구하고 미복귀한 8천여명의 노조원에 대한 파면 등 중징계 방침도 향후 논란의 대상이 될 전망이다. 노조가 전향적으로 파업을 철회할 경우 정부가 일종의 정상참작을 해줘야 하는것이 아니냐는 분위기도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부는 일벌백계를 통해 집단의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법과 원칙'에 따라 접근한다는 방침이어서 핵심간부 등을 중심으로 한 중징계 사태는 피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서울=연합뉴스) 류성무기자 tjdan@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