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 당선자는 지난 주말 인수위 간사단 회의에 참석,"어두운 경기를 거론하면서 위기를 확산시키는 언론보도들이 있다"며 "이는 경기상승을 지체시키고 경기하강을 촉진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한다"고 강조했다고 인수위 관계자가 밝혔다. 또 인수위 공보팀은 "경제지표의 변화를 위기상황으로 증폭시켜 실증적 증거도 없이 무조건 새정부의 기업·노동정책이나 재벌개혁과 연결지어 책임을 전가하는 것은 지나친 단정이 아닐수 없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우리는 이같은 인수위측 현실인식이나 언론에 대한 불만은 한마디로 매우 적절하지 못하다고 본다. 주가가 15개월래 최저수준으로 떨어지고 올들어서만 증시 시가총액이 25조원이나 감소한 점,1·4분기 성장률이 4%대로 떨어질지도 모른다는 박승 한은 총재의 경고,경기가 더 나빠질 것으로 보는 기업인들의 비중이 갈수록 늘고 있는 BSI(기업경기실사지수)조사결과 등 '걱정스럽기만 한 경제'를 말해주는 사례는 결코 한둘이 아니다. 인수위가 그런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언론에서 경제지표의 변화를 위기상황으로 증폭시키고 있다"고 강변하려 드는 것은 정말 한국경제의 앞날을 암담하게 만드는 일이다. 우리는 특히 "시행도 안한 정책을 흔들며 시장불안을 자극해 경기불안 책임을 새정부에 전가하려 든다"는 인수위 주장에 대해 거부감을 느낀다. 현재 나타나고 있는 경제상황은 국내외의 갖가지 경제변수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임에 분명하다. 북한 핵, 이라크 전쟁, 미·일 등 선진국 경기침체 등이 우리 경제에 하나같이 짐이 되고 있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동시에 인수위도 적잖은 부담으로 작용했다는 것을 직시해야 한다. '시행도 안한 정책'을 강조하는 것이,그렇기 때문에 악영향도 현실적으로 나타났을 리 없다는 논리에서 나온 것이라면 한마디로 논평할 가치조차 없다. 어차피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는 중장기 개혁과제들을 경기가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는 시점에서 연일 논의해야 했던 까닭이 무엇이었는지,경인운하 경제특구 등 왔다갔다한 정책혼선이 새정부의 경제운용에 대한 믿음을 얼마나 떨어뜨렸을지,인수위가 능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한 국민경제적 비용은 적지만도 않다. 경제정책이 1차적으로 고려해야할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이 경기다. 그것은 기업활동과 연관되는 변수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오늘의 상황에서 기업정책이 어떠해야 할지는 자명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