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청계천 유지용수로 한강물을 끌어다쓰는 방안을 고려중인 가운데 빗물과 지하수를 이용하면 굳이 한강물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이 나와 주목된다. 한국교원대 정동양 교수는 25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서울시와 유엔환경개발계획(UNEP) 한국위원회 등의 공동 주최로 열린 `청계천복원 국제심포지엄'에서 이같은 방안을 제안했다. 정 교수는 `청계천 복원방안'이란 주제발표에서 "물의 자연 순환체계를 회복하는 단계적.장기적 계획에 따라 청계천 용수가 공급돼야 한다"고 전제한 뒤 "단기적으로는 백운천.중학천.남산 수로에서 하수와 분리된 빗물, 지하철역 구내의 지하수를 활용할 수 있고 이 경우 한강물이나 중랑하수처리장의 물을 끌어올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이어 대형건물, 공공시설의 오수 재활용과 상류오염원 차집 등을 통해 하수를 이용하고, 장기적으로 지하수가 빠져나간 빈 공간으로 청계천 용수가 스며드는 것을 막기 위해 지하수 이용을 통제해 지하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며 "장기계획이 마무리되면 지하수도 사용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정 교수는 또 "최근 강수특성의 변화와 하천내 수목 등으로 청계천에 홍수가 일어날 수 있다"며 "이 문제는 인왕산.북한산.남산에서 내려오는 하천의 수로를 변경해 성북천 합류지점 하류쪽으로 배수하면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발표자인 일본 국토교통성 사마타니 유끼히로 타께오공사 사무소장은 "청계천에 많은 다리가 세워지면 홍수 발생시 나무, 쓰레기 등이 교각에 걸려 범람의원인이 될 수 있다"며 "이를 막기 위해 교각 간격을 길게 하는 방법과 교량 구간의홍수량을 우회시키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밖에 프랑스의 앙드레 마리 블롱 파리도시계획연구소 부소장과 독일의 에릭파쉐 함부르크 공대 교수도 각각 프랑스와 독일의 하천복원 사례 및 성과에 관해 발표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상훈 기자 karll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