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금융권 및 비금융기관이 보유한 부실채권을 포함하면 국내 부실채권 규모는 100조원이 넘는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강동수 박사는 15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신용정보협회가 주최한 '신용정보업의 현황과 발전방향'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금융감독원 통계에 포함되지 않은 투신.보험.새마을금고 및 일반기업.연기금 등 비금융기관이 보유한 규모를 포함하면 지난 6월말 기준 국내 부실채권은 100조원을 웃돌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 급팽창한 가계대출이 경기불안 등과 맞물려 부실화할 경우 부실채권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신용정보회사 육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또 한국채권평가 김세진 대표이사는 신용정보회사 발전을 위해 채권추심 대상을국세체납액 등으로 확대하고 무담보채권 등 부실채권 매입업무를 허용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소비자보호원 박성용 박사는 이어 신용정보산업 육성시 개인정보 보호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소한 동국대 교수는 신용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풍토를 정착시켜야하며 또 다시 신용불량기록 삭제 등이 이뤄져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금감원 한복환 개인신용회복지원국장은 건전한 신용정보사 육성을 위해 자본금을 2∼4배 늘려야하며 자산관리 및 채권매입 업무를 허용하되 확정판결 받은 채권만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최윤정기자 merciel@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