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땅값 상승 움직임이 심상찮다. 저금리로 갈곳을 잃은 시중자금이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해제, 판교 신도시개발 등의 호재가 겹치면서 일부가 땅투기쪽으로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저금리 등 거시경제적인 요인이 재건축이라는 심리적 기대요인과 합쳐지면서 강남지역 아파트 값 급등을 몰고왔던 현상과 원인이 일맥 상통한다. 올해 땅값 상승의 추세는 건설교통부의 지가 변동조사 자료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지난 6월말 현재 전국의 땅값은 작년 말보다 3.07%나 올라 지난 92년 이래 지가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99년의 연간 상승률(2.94%)마저 이미 뛰어넘었다. 하반기중 특별한 경기 변동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올해 지가 상승률은 11년만의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건설교통부가 최근 토지거래동향 감시구역 확대 지정과 토지거래 허가구역에 대한 요건심사 강화를 추진하고 있는 것도 바로 이런 배경 때문이다. ◇땅값 곳곳서 `꿈틀' = 서울 및 수도권에서는 그린벨트 해제가 예정된 인근지역, 신도시 개발이 추진되는 판교 인근, 김포 등 택지개발지구 주변 등이 올들어 땅값 상승세를 주도했던 지역으로 꼽힌다. 주5일 근무제 실시를 앞두고 고급 민박시설인 펜션 등이 인기를 끌면서 경기 홍천과 가평, 충청도의 안면도와 제천, 강원도의 용평, 문막, 분내, 평창 등의 준농림지 가격도 오름세를 탔다. 심지어는 국제자유도시로 예정된 제주도와 인천 송도 등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국가 실현을 위한 경제특구 추진지역도 벌써부터 땅값이 꿈틀대고 있다는 얘기가 들린다. 성남의 경우 작년말 발표된 재개발 추진계획과 지난달 군용 비행장 주변 고도제한 완화가 호재로 작용하면서 땅값이 많이 올랐으며 재개발지역의 철거대상 주택지는 지난해 말 평당 500만∼550만원에서 현재 평당 600만∼650만원대로 올랐다. 특히 성남대로 등 서울과 가까운 지역의 대로변은 평당 1천만∼1천600만원에 가격이 형성되고 있다. 전원주택지로 손꼽히는 양평, 용인, 남양주 등의 준농림지는 평당 10만원선이던토지가 13만∼14만원으로 상승했으며 특히 남한강변 양평 대십리 일대는 평당 50만원을 호가하고 있다. ◇땅값 불안 지속될까 = 전문가들의 의견이 엇갈리기는 하지만 대체로 상승세는지속되겠지만 상승률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건설산업연구원의 김현아 박사는 "개발 가능지역에 대한 기대심리가 아직 커 하반기에도 상승기조는 이어질 것으로 본다"면서 "다만 상승률은 상반기보다는 둔화된1% 안팎을 기록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토지공사 김창수 책임연구원도 "금리와 경기 여건 때문에 상반기에 많이 오른 것은 사실이다"며 "하반기에도 이런 추세가 지속될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김 연구원의 의견은 저금리 등 불안요인은 있지만 상승세가 다소 둔화될 것이라는데 대해 미약하나마 기대를 갖고 있는 것이다. ◇투기 세력에 주의해야 = 올들어 땅값 상승세가 심상치 않자 이를 틈탄 투기세력의 움직임도 보이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문가들은 이와 관련,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 투자자들이 피해를 입을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확정도 안된 개발 소식을 사실상 확정된 것처럼 소문을 퍼뜨려 땅값을 올린 뒤비싼 값에 일반인들에게 팔아넘긴 뒤 뒤로 빠지는 수법에 조심하라는 지적이다. 실제로 지난 98년 잠실 문정동 그린벨트 해제설, 99년 김포 발산지구 개발설 등은 이런 수법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며 많은 일반 투자자들이 터무니 없는 가격에해당 지역의 토지를 매입해 피해를 입었다. 전원주택.토지정보 전문업체인 ㈜그린홈넷의 정훈록 이사는 "강남에만도 이런투기세력이 100여개에 이를 것"이라며 "안면도와 일부 신도시 등 최근 투자가 과열된 지역은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경수현.안승섭기자 eva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