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자금 상환대책 확정이 미뤄질 경우 채권시장이 혼란에 빠지고 금리가 올라 기업활동을 위축시킬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17일 LG경제연구원은 지난 6월 발표된 정부대책에 따라 공적자금 상환이 이뤄질 경우 올 4분기에는 예보채 3조2천억원과 국채 3조9천억원 등 총 7조1천억원에 이르는 무위험장기채권의 만기가 집중돼 단기적인 수급악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내년 3분기에는 예보채 8조3천억원과 부실채권정리기금채권 8조9천억원,국채 2조3천억원 등 총 19조6천억원에 달하는 무위험장기채권의 만기가 집중,차환발행 물량을 분산시키는 조치 등의 공적자금 상환대책이 조기에 확정되지 않을 경우 수급악화 우려에 따른 채권시장 불안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분석이다. LG경제연구원 조영무 연구원은 "올 하반기 이후에는 금리상승(채권가격 하락)이 예상되고 통화정책도 완만한 긴축기조로 전환될 전망이므로 금융기관은 보유채권의 듀레이션(잔존만기)을 줄이려 할 것이고 이는 장기채권에 대한 수요위축으로 나타날 것"이라며 "그런데도 차환발행될 예보채와 전환발행될 국채가 장기채로 발행되는 게 불가피한 상황에서 올 4분기나 내년 3분기에 한꺼번에 시장에 쏟아질 경우 수급악화에 따른 금리상승을 유발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올 상반기 시중금리가 안정세를 보인데는 장기채권의 공급이 줄면서 보험 및 연기금 등 장기 투자기관이 지표채권 등 중기채권으로까지 매수세를 확대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예보채와 국채 등 장기채의 공급이 일시에 집중될 경우 장기채 수급이 악화되고 나머지 만기의 채권의 수급악화로까지 연결돼 지표금리의 상승을 초래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조 연구원은 "때문에 만기도래액이 특정한 달에 집중될 경우 통합발행 형태를 빌어 수개월 동안 나눠 발행하는 방법이나 장기채 발행으로 조달한 자금으로 만기가 얼마 남지 않은 단기채를 조기상환하는 바이백(buy-back) 등을 적극 강구해야 한다"며 "불필요한 채권시장 동요를 막기 위해서라도 공적자금 상황방법과 일정을 조기에 확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민하 기자 haha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