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김포매립지 일대를 국제금융·레저 중심의 복합 신도시로 개발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주거단지와 테마관광단지 건설,국내외 금융기관 유치 등은 물론이고,국제적인 비즈니스맨 양성을 위해 경제특구내에 국제고교를 설립하는 한편 외국인투자에 대해 세제지원을 하는 방안도 시행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렇게 되면 인천신공항 부산 광양 등을 물류의 축으로 삼아 동북아경제 중심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한 원대한 계획이 조만간 하나씩 구체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는 김포매립지 개발의 타당성에는 기본적으로 동의한다. 중국경제의 급부상으로 인한 충격을 극복하고 21세기에 선진국으로 도약하자면 동북아 물류중심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점에 대해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주변국들이 경쟁적으로 비슷한 개발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사정을 감안하면 오히려 때늦은 감조차 없지 않다. 원래 농업용지로 매립허가가 난 점을 감안할 때 정부계획에 비판적인 시각이 있는 것도 무리는 아니지만, 농사에 적합하지 않은데다 부지매입으로 인한 재정부담이 가중되고 있는데도 김포매립지의 개발용도를 굳이 농업용으로 제한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문제는 개발계획의 실현성과 경제성이 얼마나 높으냐는 점에 있다. 이미 여러차례 지적했지만 부산 광양 제주도 인천신공항 등지를 동시다발적으로 경제특구 또는 국제자유도시로 지정하고 물류중심지나 첨단산업지역으로 육성하려고 한다면 중복투자를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그렇지 않아도 부산 광양 제주에서는 영종도나 김포매립지 등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투자유치 우선순위에서 밀리지 않을까 걱정하는 눈치다. 게다가 김포매립지의 경우 경제성 측면에선 신도시 건설이 가장 좋지만 정부가 땅장사를 한다는 비난을 받을까봐 실현성은 도외시한채 신도시를 국제금융 중심으로 개발한다는 명분을 내걸었다는 비판적인 시각도 있다. 관계부처간 그리고 중앙정부와 지자체간에 서로 협조하고 양보하며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 또한 중요한 과제다. 수도권 집중 가속화,땅값 상승,내국인 역차별 등 예상되는 숱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앞으로 20여년간에 걸쳐 방대한 개발구상을 추진하자면 더욱 그렇다. 개발에 필요한 엄청난 금액의 자금을 조달하고 한정된 재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며 관련 사회간접자본을 확충하는 일 등 수많은 대목에서 긴밀한 업무협조가 필수적인 만큼 정부는 어떤 형식으로든 제도적 협력장치 마련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