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를 이용해 국내 과학자가 개발한 에이즈 치료백신이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4일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따르면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성영철 교수는 오는 4월에자신이 개발한 에이즈 DNA백신 `GX-12'에 대한 국내 임상시험을 승인받기 위해 식약청과 협의중이다. 성 교수가 개발한 GX-12는 에이즈 바이러스 유전자 일부에다 인체에서 면역반응을 촉진하는 물질인 `인터루킨-12 변형체'를 결합시킨 DNA백신으로 박테리아 내의 유전자 전달체인 플라즈미드를 통해 운반된다. 이 에이즈 치료백신은 이미 외국에서 진행한 임상시험과 동물실험에서 안전성과치료효과를 인정받는 등 안전성과 효능을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해 3월부터 최근까지 우크라이나 키예프의 전염병연구소에서 우크라이나 에이즈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임상시험에서 별다른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을 뿐 아니라 미국 뉴멕시코주 알마고르도시에서 사람과 유전자 구조가 98.6% 일치하는 침팬지 대상의 동물실험에서도 우수한 치료 효과를 보인것으로 알려졌다. 식약청은 이같은 외국 임상시험 및 동물실험 결과를 토대로 성 교수가 임상시험계획서를 제출하면 이를 검토, 특별한 문제가 없는 한 이 에이즈 DNA백신을 사람에 투여하는 국내 임상시험에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할 계획이다. 개발단계의 에이즈 치료백신이 국내 임상시험에서 환자에게 직접 투여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편 GX-12 개발에는 성 교수가 창업한 바이오벤처기업인 제넥신을 비롯해 포항공대와 동아제약, 녹십자 등이 공동으로 참여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서한기기자 sh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