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가격은 올해부터 상승세가 둔화되고 3,4년뒤에는 장기적인 안정추세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LG경제연구원 김성식 연구원은 11일 "작년의 주택가격 상승은 저평가된 내재가치의 회복측면보다는 과도기적인 수급 불균형 요인에 따른 것"이라면서 "오름세 지속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저금리와 전세에서 월세 전환 등 추세적 요인이 주택가격을 상승시키기도 했지만 외환위기이후 분양급감에 따른 일시적인 입주물량 공백기에 이주수요가 급증하고풍부한 유동성에 편승한 투기 수요가 발생한 것이 주원인이었다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올해에도 주택가격은 실물경기 호전 기대감에 힘입어 상승세를 탈 것이지만 오름폭이 작년보다는 크게 둔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 근거로 주택가격이 소득에 비해 너무 과도하게 올랐고 금리상승세, 분양권전매차익 과세 강화 등 투기 억제대책이 실시될 것이며 지난해의 극심한 수급불균형이 완화될 것이라는 점을 꼽았다. 우선 주택경기를 이끌고 왔던 금리의 하향기조가 흔들릴 가능성이 크다. 현재 국내 금리는 지난해 최저수준에 비해 1%포인트 가량 오른 상황에서 실물경기 회복 기대감으로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고 김 연구원은 주장했다. 이와 함께 작년 10월부터 40만가구 물량의 입주가 이어지고 있어 주택물량 부족문제가 크게 완화되고 있다고 김 연구원은 분석했다. 특히 지난해부터 연간 50만가구이상의 주택이 새로 분양되고 있기 때문에 이 물량의 입주가 본격화하는 3, 4년이후에는 공급과잉을 초래, 집값을 떨어뜨릴 안정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정부의 임대주택 공급 확대와 수도권 제2신도시 건설 등 신규공급 확대정책도 장기적으로 주택공급 과잉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김 연구원은 주장했다. 김 연구원은 "자산가격이 적정수준을 넘어 과도하게 버블이 형성되면 경제에는 막대한 후유증으로 돌아오게 된다"면서 "주택시장이 실수요자 위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투기수요를 억제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전준상기자 chunjs@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