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고속철도 대전, 대구 도심통과 구간의 공사방법에 대한 연구용역이 내달 발주된다. 18일 건설교통부와 한국고속철도공단에 따르면 경부고속철도 건설사업의 핵심쟁점중 하나인 대전, 대구 도심구간의 선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타당성 검토 차원에서 연구용역을 실시키로 했다. 이번 연구용역에서는 지난 93년 정부가 정한 지하화 방침과 최근 일각에서 일고있는 지상화 주장, 대구시에서 제시한 개착식 공법 등 3가지 방안에 대한 비교 검토와 사업의 경제성, 효용성, 기술적 타당성 등이 종합적으로 연구될 예정이다. 건교부와 고속철도공단은 이를 위해 내달 연구용역을 발주하고 연구기관을 선정한뒤 결과가 나오는대로 지역 여론을 수렴, 내년말 공사방법을 최종 결정키로 했다. 고속철도를 지하화 할 경우 지상화에 비해 사업비가 대전 6천936억원, 대구 5천253억원이 더 드는데다 공기도 18개월, 12개월 각각 늘어나게 된다. 기존 선로 옆에 반지하방식으로 선로를 추가 설치하는 개착식 공법은 시민 편의성이 높지만 지하화보다 1천억원 가량의 사업비가 필요하고 열차의 속도를 떨어뜨린다는 단점이 있다. 건교부 관계자는 "3가지 방식이 모두 장.단점을 갖고 있는 만큼 논쟁의 소지를없애기 위해 연구용역을 철저히 하도록 당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유경수기자 yk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