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도 이미 고령화사회에 진입했고 그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데 과연 이에 대한 준비가 제대로 되고 있는지 걱정이다. 통계청이 지난 25일 발표한 '2000 인구 주택 총조사 전수집계 결과'를 보면 지난해 11월1일 현재 노령화 지수는 35.0(기준 30),65세 이상 고령인구비율 7.3%(7%),중위연령 32세(30세) 등으로 우리나라도 이미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이같은 고령화사회는 젊은층의 결혼 및 출산기피,이혼율 증가 등으로 출산율은 낮아지는 반면 베이비붐 세대인 40∼50대가 점차 노령화 돼 해가 갈수록 더욱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이라고 한다. 고령화사회로 진입하면 청·장년인구 증가가 둔화돼 노동인력이 부족해지면서 노령인구에 대한 부양비 부담은 늘어나게 돼 경제가 활력을 잃게 되는 것은 물론 정치 사회 복지 등 전반에 걸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IMF사태 수습과 최근의 경기침체로 갈수록 정년이 낮아지는 추세를 보여 일자리를 잃는 사람이 늘어나 고령화사회의 문제를 더욱 꼬이게 만들고 있다. 평균수명은 남자 71.7세,여자 79.2세로 늘어난 반면 정년은 오히려 낮아져 20∼30년을 일없이 지내야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가족은 물론 사회전체의 부양부담이 커지게 되고 가뜩이나 어려운 형편인 연금 및 의료보험의 고갈,국가노동력 감소 등이 앞으로 국가경제에 심각한 현안으로 등장할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고령화사회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은 생산성이 높은 경제활동 인구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개인의 경제활동 기간을 연장시키는데서 찾아야 한다. 사회전반에 걸쳐 남녀 차별의식을 줄여 여성취업을 늘려 나가는 한편 단축되고 있는 정년퇴직제도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고 퇴직자 재훈련 및 재고용 등으로 고령근로자를 적극 활용하면서 이에 맞게 임금체계와 일의 개념을 바꿔나가는 것도 필요하다고 본다. 이참에 서구의 경영이론을 무분별하게 도입,평생직장 개념을 깨고 정년퇴직을 앞당기는 것만이 효율적인 방안인지도 생각해 볼 문제다. 또 의료 요양시설의 확대 등을 통해 사회전체가 노인에 대한 부양을 분담하는 시스템으로의 전환도 시급하다고 하겠다. 일본의 경우 지역사회에서 혼자 사는 노인들을 방문해 돌보는 '재가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것도 참고할 만하다. 고령화사회의 문제는 남의 일이 아니라 우리자신의 문제이며 개인차원의 대응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국가가 앞장서 근본적인 대책을 강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