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와 업계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수익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많아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을 주식회사보다는 공공법인 형태로 설립하기로 했습니다" 유진룡 문화관광부 문화산업국장은 25일 문화콘텐츠산업 육성을 위해 재단법인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을 다음달중 설립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로써 고품질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해 '코리아ⓔ뮤지엄'이라는 전문회사를 상반기중 주식회사 형태로 설립하겠다던 문화부의 '야심적 계획'은 없던 일로 됐다. 지난 2월 문화부는 코리아ⓔ뮤지엄을 공공기금과 민자를 50대 50으로 투자해 초기자본금 2천억원의 주식회사로 만들겠다고 발표하고 청와대에 업무보고까지 했다. 현재 2천5백∼3천개의 문화콘텐츠 제작사들이 있으나 영세하기 때문에 앞으로 문화콘텐츠 산업을 선도할 기업이 필요하다는 게 이유였다. 초기단계에는 유·무형 국가 문화자산을 디지털화하고 성숙단계에 접어들면 시장성 있는 영상문화콘텐츠를 개발,수익을 창출하도록 한다는 단계별 계획도 제시됐다. 자본금만 까먹지 않겠느냐는 주위의 우려에 대해 문화부 관계자는 "3∼5년 정도면 적자를 면하게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공보관실에선 "올해 문화부문 사업계획의 중심은 코리아ⓔ뮤지엄이라는 회사를 설립·운영하는 계획에 있다"며 이를 주목해달라고 '특별요청'까지 했다. 그런 주식회사 설립계획이 4개월여만에 재단법인 설립으로 급선회한 것이다. 물론 타당성 없는 계획은 신속히 철회하거나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수익성을 제대로 검토해보지도 않은 사업을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언론에 발표한 것엔 문제가 있다. 업계나 전문가들의 의견도 듣지 않은 채 사업계획을 세웠다고 해석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청와대 업무보고때 '한 건'하기 위한 것 아니었느냐는 지적이 나올만하다. 설익은 사업계획에 매달리느라 낭비한 인력과 시간은 또 어쩔 것인가. 대통령이 CT(문화기술)와 문화콘텐츠를 강조한다고 해서 문화산업의 경쟁력이 절로 확보되는 것은 아니다. 계획단계에서부터 기초가 튼튼해야 졸속과 부실을 낳지 않게 된다. 서화동 문화부 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