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부가 IMT-2000 동기식 사업자 선정문제를 놓고 계속 오락가락 하고 있는 것은 문제가 적지 않다. 정통부는 기술 자금 영업경험 등 여러가지 면에서 압도적으로 우세한 LG텔레콤을 염두에 두고 출연금 경감 등의 지원방안을 논의했으나 하나로통신이 반발하자 다른 정보통신 중소업체들을 포괄하는 그랜드 컨소시엄을 선호하는 쪽으로 입장을 바꿨다. 그러다가 다시 데이콤 파워콤,그리고 외국업체들까지 참가하는 지주회사 쪽으로 기우는 듯한 인상을 주고 있으며,출연금도 삭감대신 장기분할 납부로 후퇴해 당사자들을 당황하게 만들고 있다. IMT-2000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서 기술표준을 어떻게 하는 것이 차세대 통신기술의 축적과 국내 이동통신 산업의 발전에 유리한지는 고도의 정책적 판단이 필요한 사안이다. 이 점에서 우리나라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진 동기식 이통사업을 병행하려고 하는 것은 정책당국으로서 얼마든지 판단할 수 있는 일이라고 본다. 국내외 비동기식 사업자들이 여러가지 기술적인 문제들과 자금난 때문에 예정보다 3년정도 늦은 오는 2004년에나 서비스를 시작할 전망이어서 더욱 그렇다. 그렇다면 이제는 정통부가 동기식 사업자에 대한 지원내용과 선정기준을 명확히 밝힘으로써 통신정책에 대한 불신을 막고 이 문제가 국내 이동통신산업 발전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현재 동기식 사업자 선정문제와 직접적으로 연관돼 있는 사안들로 국내 통신시장의 3강 체제로의 개편, 선후발 통신사업자간 비대칭규제 등이 있는데 모두 뜨거운 논란을 불러 일으킬 소지가 많다. 그중에서도 특히 동기식사업자 선정이 왜 엉뚱하게 유·무선 통신시장을 아우르는 '제3의 통신사업자' 육성 문제로 바뀌었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이렇게 되면 공연히 문제가 너무 복잡해져 시간만 끌다가 동기식 이통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당초의 정책목표마저 달성하기 어렵게 될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뚜렷한 경영주체 없이 엄청난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후발 통신업체들을 모두 끌어 들이는데만 급급할 경우 제3의 통신사업자가 자칫 거대한 부실기업으로 전락할지 모른다는 지적도 귀담아 들어야 할 것이다. 현대는 스피드 시대다. 첨단산업을 다루는 통신정책은 더욱 실기해선 안된다. 어차피 동기식 사업자를 선정할 작정이라면 정통부는 하루빨리 객관적인 선정기준을 마련하고 국내 이동통신사업이 지향해야 할 뚜렷한 비전을 제시해야 마땅하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