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여야 정치권과 정부가 경제정책 전반에 대해 토론을 갖고 합의문까지 발표한 것은 사사건건 맞서기만 하던 여야가 숙식을 같이하면서 머리를 맞댔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박수를 받을만 하다.

합의내용이 원론적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고,일부 민감한 쟁점들에 대해선 오히려 견해차를 확인하는데 그쳤다는 평가도 없지 않다.

그러나 여야로 나뉘어져 있는 정치 현실과 1박2일의 짧은 일정 등을 감안한다면 이번 경제정책포럼은 기대 이상의 큰 성과를 거뒀다는게 우리 생각이다.

합의내용에 있어서도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한 종합대책 마련에 견해를 같이 한 것이나 재정개혁관련 법률의 제정,기업구조조정촉진법 및 도산 3법의 통합을 조속히 추진키로 합의한 것 등은 경제난국을 극복하는데 적지않은 도움을 줄 것이다.

그러나 이번 포럼이 일과성으로 그칠 일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좋든 싫든 이번 포럼이 국민들의 박수를 받은 만큼 여야는 그에 대한 보답을 성실히 실행에 옮겨야 한다.

그렇지않으면 정치 또는 정부에 대한 불신만 더욱 조장한 결과를 초래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합의된 몇가지 원칙은 최대한 빠른 시일내에 입법 또는 정책입안을 서두르고,이번에 견해차를 좁히지 못한 과제에 대해서는 정략적 차원을 떠나 순수한 마음으로 허심탄회한 의견교환을 지속해주기 바란다.

우리는 지난주 초 경제토론회 개최계획을 환영하면서 여야가 당리당략을 떠나 시장경제활성화와 경제활력 회복에 초점을 맞춰 토론에 임해주기를 주문한바 있다.

그같은 관점에서 이번 포럼을 평가한다면 미흡했다고 본다.

재벌정책이나 국가채무문제에 대한 팽팽한 이견이 그 대표적인 사례다.

우선 기업의 창의와 투자의욕을 제한하면서 경제를 살리겠다는 것이 과연 올바른 처방인지 이해하기 어렵다.

또 국가채무 문제도 본질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면 이견이 있을수 없는 과제다.

외환위기 이후 국가채무가 급증했다는 사실은 야당뿐만 아니라 정부와 여당도 부인하지 않는다.

따라서 어떻게 하면 줄여나갈수 있느냐에 논의의 초점이 모아져야 한다.

그런데도 국가채무가 1백조다,4백조다,1천조다 하는 숫자공방으로 이어지는 것은 누구에게도 도움이 안되는 일이다.

장기 안정적인 발전방안 모색을 위해 정책포럼을 활성화시켜 나가겠다는 발표에 주목한다.

전·현직 경제부총리를 비롯해 자타가 공인하는 경제통 의원들로 구성된 포럼인 만큼 당리당략을 떠나 순수한 경제논리로 접근한다면 난국극복의 해법은 의외로 쉽게 풀릴수 있다고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