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대통령은 기회있을 때마다 "우리가 산업화에 늦었지만, 정보화에는 앞서야 한다"고 강조한다.

''국민의 정부''가 역대 정권과 차별화될 수 있는 점을 꼽으라면 단연 지식정보화와 생산적 복지다.

미국의 시사주간지 타임(TIME)은 최근 "한국은 4천7백만 국민중 3분의 1 이상이 인터넷을 이용,세계에서 인터넷 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나라의 하나"라고 소개했다.

현 정부는 IMF 사태의 어려움 속에서도 정보화와 벤처 지식경제 산업분야를 집중 육성했다.

21세기 무한경쟁 시대에 가장 중요한 국력의 지표인 지식정보화의 인프라구축에 성공했다는게 일반적인 평가다.

실제로 지난 97년말 6백82만명에 불과하던 이동전화 가입자가 지난해말 2천6백81만6천명으로 2백90% 증가했다.

인터넷 이용자는 97년말 1백63만4천명에서 지난해말 2천2백84만8천명으로 무려 1천3백%가 늘었다.

아울러 PC통신 가입자도 97년말 3백42만명에서 지난해말 1천9백32만8천명으로 4백60%가 증가했다.

현 정부가 거둔 이같은 성과는 정보화 분야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라 할 수 있는 ''사이버 코리아 21''을 수립, 국가사회 전반의 변화와 벤처기업 지원을 통한 고용창출을 유도하는 등 국가정보화 전략이 주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민의 정부''는 정보화 격차를 해소하고, 행정서비스의 질적 혁신과 신뢰받는 투명한 행정구현을 위해 전자정부를 2003년까지 조기에 실현할 계획이다.

현 정부가 주창한 생산적 복지는 국가 복지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고,나아가 극빈층과 노인 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복지기반 확충에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국민연금등 4대 국가사회안전망 구축은 이런 평가를 받는 주춧돌이 되고 있다.

김영근 기자 yg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