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드가 대우자동차 인수를 포기함에 따라 대우차 매각은 원점에서 다시 시작하게 됐다.

대우 채권단과 구조조정협의회는 오는 18일 회의를 열고 대우차 처리방안을 결정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이근영 금감위원장은 "포드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할 당시의 입찰방식은 지금도 유효하다"고 말했다.

대우차 관계자도 15일 "지난 6월 오호근 구조조정협의회 의장이 포드와의 협상이 무산될 경우 기존에 제안서를 제출한 업체에 우선권을 주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며 "현대-다임러와 GM-피아트 컨소시엄으로부터 다시 제안서를 받고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는 수순을 밟게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방식은 입찰의 공정성보장 등에서 교과서적이긴 하지만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정부와 채권단은 포드입찰포기가 경제에 미치는 쇼크를 서둘러 수습하기 위해 18일중 양대 컨소시엄을 상대로 각각 개별협상을 시작하거나 1차 입찰제안서를 토대로 1개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는 ''조기 처리방안''을 전격 발표할 가능성도 없지않다.

1차 입찰때와는 달리 ''속전속결''이 설득력을 얻는 것은 포드의 인수포기 충격이 너무 크기 때문이다.

대우차 매각문제로 계속 시간을 끌다간 대우문제처리 뿐만 아니라 기업구조조정작업이 전반적으로 꼬여들 공산이 큰데다 다시 실사를 거쳐 제안서를 받는 절차도 시간만 끌뿐 실익이 별로 없다.

정부 일각에서도 최근 유가파동 등으로 경제여건이 혼미해진 상황에서 대우차 매각불발을 빨리 수습하지 않을 경우 파국으로 치달을 지 모른다고 우려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현대-다임러,GM-피아트 컨소시엄을 모두 정밀실사까지 끌고가 최종 입찰을 하는 방식도 거론되고 있다.

이 방식은 국제 입찰의 관례에 맞지 않아 현재로선 채택될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포드의 대우차 인수포기와 같은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양대 컨소시엄이 동시에 대우차 정밀실사를 한 후 가격과 인수조건 등을 제시하도록 할 경우 입찰이 또다시 공전되는 문제점을 미리 방지할수 있는 장점이 있어 막판 대안으로 선택될 가능성도 없지않다.

김용준 기자 juny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