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2B 결제시스템' 겉돈다] 市場은 급팽창 .. '준비 현황/문제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자결제시스템 완비는 이제 갓 태동한 B2B(기업간전자상거래)가 제대로 뿌리내릴 수 있을지를 가늠하는 직접적인 잣대가 된다.
전자거래에 걸맞은 결제시스템도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B2B 확산을 기대하는 것은 애당초 무리이기 때문이다.
정부가 주문과 계약에서부터 대금지불까지 이어지는 완결된 형태의 B2B를 위해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전자지불체제 마련을 적극적으로 검토키로 한 것도 이 때문이다.
<> 이제 갓 태동하는 B2B 사업 =올초부터 주요 그룹사계열의 종합상사와 제조업체, 인터넷 기업 등을 중심으로 B2B시장 선점을 위한 본격적인 경쟁에 나선 상태다.
지난 2일 삼성이 발표한 것처럼 외국기업과의 제휴를 통해 전세계 시장을 대상으로 한 B2B 사업을 펼치는 업체가 있는가 하면 산업기자재분야 B2B업체인 파텍21과 같이 국내 기업간 물품구매를 지원하는 쪽으로 사업영역을 국한한 사례도 적지 않다.
국내 시장의 경우 가전 3사가 함께 출자해 전자관련 부품 조달을 위해 설립한 일렉트로피아와 같이 철강 자동차 화학 등 업종별 B2B업체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들 업체는 늦어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B2B거래 업무를 시작할 방침이다.
그러나 B2B 확산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은 상대적으로 크게 뒤져 있는 상태다.
B2B분야 진출업체들이 인터넷 주문과 배달 등의 하드웨어시스템을 빠른 속도로 구비하고 있지만 대금결제와 계약체결에 대한 인증 등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보완이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최영상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 컨설팅코리아 사장은 "전세계적으로 B2B 시장은 이제 갓 태동하고 있는 분야로 앞으로 엄청난 속도로 발전할 것"이라며 "주문 배달 결제 등 전자거래시스템을 빨리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앤더슨컨설팅은 한국의 B2B시장 규모는 99년 4백억원으로 B2C(기업과 소비자간 전자상거래) 규모와 같았으나 2000년에는 1천8백억원에 달해 9백억원으로 추정되는 B2C와의 격차가 크게 벌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B2B의 경우 2001년엔 4천8백억원, 2002년 1조1천억원, 2003년 2조2천억원으로 기하급수적으로 시장규모가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 전자결제시스템 어떤게 고려되나 =정부가 현재 구상중인 전자결제시스템은 기업구매자금 대출제와 기업구매전용카드, 전자어음 등 크게 세가지다.
그러나 어떤 형태가 됐든 원스톱 B2B를 지원하는 결제시스템으로 도입하는 데는 적잖은 걸림돌이 있다.
금융회사들이 잇달아 도입하고 있는 기업구매전용카드의 경우 신용도가 낮은 중소업체의 경우 활용이 어렵다는 점에서 전체 B2B거래의 5%도 충족하기 어려울 것이란 지적이 많다.
또 기업구매자금대출은 대기업 등이 은행에 한도를 정해 놓으면 물품을 공급한 중소업체가 대금을 받아가는 형식.
그러나 이 제도는 대출자금이 대기업의 부채비율로 잡히기 때문에 제도 활성화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전자어음이 도입되면 가장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여러 부작용이 있는 어음제도를 사이버 공간에까지 도입해야 하는지에 대한 회의론이 적지 않다.
이에따라 정부 방침대로 B2B를 대기업간의 거래가 아니라 중소 규모의 기업까지 포괄하는 새로운 상거래 관행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선 획기적인 대안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B2B 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어음거래를 사이버공간으로 끌어들이는 방법을 고려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며 "다만 이 경우 어음발행 기업의 신용도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출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수언 기자 sookim@ked.co.kr
전자거래에 걸맞은 결제시스템도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B2B 확산을 기대하는 것은 애당초 무리이기 때문이다.
정부가 주문과 계약에서부터 대금지불까지 이어지는 완결된 형태의 B2B를 위해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전자지불체제 마련을 적극적으로 검토키로 한 것도 이 때문이다.
<> 이제 갓 태동하는 B2B 사업 =올초부터 주요 그룹사계열의 종합상사와 제조업체, 인터넷 기업 등을 중심으로 B2B시장 선점을 위한 본격적인 경쟁에 나선 상태다.
지난 2일 삼성이 발표한 것처럼 외국기업과의 제휴를 통해 전세계 시장을 대상으로 한 B2B 사업을 펼치는 업체가 있는가 하면 산업기자재분야 B2B업체인 파텍21과 같이 국내 기업간 물품구매를 지원하는 쪽으로 사업영역을 국한한 사례도 적지 않다.
국내 시장의 경우 가전 3사가 함께 출자해 전자관련 부품 조달을 위해 설립한 일렉트로피아와 같이 철강 자동차 화학 등 업종별 B2B업체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들 업체는 늦어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B2B거래 업무를 시작할 방침이다.
그러나 B2B 확산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은 상대적으로 크게 뒤져 있는 상태다.
B2B분야 진출업체들이 인터넷 주문과 배달 등의 하드웨어시스템을 빠른 속도로 구비하고 있지만 대금결제와 계약체결에 대한 인증 등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보완이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최영상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 컨설팅코리아 사장은 "전세계적으로 B2B 시장은 이제 갓 태동하고 있는 분야로 앞으로 엄청난 속도로 발전할 것"이라며 "주문 배달 결제 등 전자거래시스템을 빨리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앤더슨컨설팅은 한국의 B2B시장 규모는 99년 4백억원으로 B2C(기업과 소비자간 전자상거래) 규모와 같았으나 2000년에는 1천8백억원에 달해 9백억원으로 추정되는 B2C와의 격차가 크게 벌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B2B의 경우 2001년엔 4천8백억원, 2002년 1조1천억원, 2003년 2조2천억원으로 기하급수적으로 시장규모가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 전자결제시스템 어떤게 고려되나 =정부가 현재 구상중인 전자결제시스템은 기업구매자금 대출제와 기업구매전용카드, 전자어음 등 크게 세가지다.
그러나 어떤 형태가 됐든 원스톱 B2B를 지원하는 결제시스템으로 도입하는 데는 적잖은 걸림돌이 있다.
금융회사들이 잇달아 도입하고 있는 기업구매전용카드의 경우 신용도가 낮은 중소업체의 경우 활용이 어렵다는 점에서 전체 B2B거래의 5%도 충족하기 어려울 것이란 지적이 많다.
또 기업구매자금대출은 대기업 등이 은행에 한도를 정해 놓으면 물품을 공급한 중소업체가 대금을 받아가는 형식.
그러나 이 제도는 대출자금이 대기업의 부채비율로 잡히기 때문에 제도 활성화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전자어음이 도입되면 가장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여러 부작용이 있는 어음제도를 사이버 공간에까지 도입해야 하는지에 대한 회의론이 적지 않다.
이에따라 정부 방침대로 B2B를 대기업간의 거래가 아니라 중소 규모의 기업까지 포괄하는 새로운 상거래 관행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선 획기적인 대안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B2B 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어음거래를 사이버공간으로 끌어들이는 방법을 고려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며 "다만 이 경우 어음발행 기업의 신용도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출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수언 기자 sookim@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