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 자금난 해소대책 ]

김학열 부총리가 조직한 "경제자문회의"를 통해 필자는 김 부총리를 잘
알게 됐다.

당시 김 부총리는 박정희 대통령의 절대적인 신임을 받으며 한국경제를
좌지우지했다.

모두들 김 부총리가 박정희의 "경제가정교사"라 믿고 있었다.

70년 12월께로 기억된다.

기업들은 자금 부족으로 아우성이었다.

매년 되풀이되는 일이었지만 그해에는 더욱 심했다.

65년 한일국교정상화이후 차관에 의한 공장 건설이 우후죽순처럼 일어났다.

차관도입에 정부 지불보증까지 해주니 기업인들은 이 기회를 놓칠세라
공장을 지었다.

그런데 공장은 차관으로 지었으나 운영자금이 없으니 아우성일 수 밖에
없었다.

필자는 전경련 회장단과 함께 김종필 총리를 방문했다.

총리실에 들어서자 김부총리가 뒷문으로 들어와 자리를 같이 했다.

김용완 전경련 회장이 운을 떼자 부회장들이 한마디씩 자금경색을
호소한다.

그런데 김총리가 말문을 열기 전에 김학열 부총리가 받아 일일이 정부
입장을 설명한다.

마치 김총리는 그 자리에 있지도 않은 듯...

의아하게 느껴져 다음주에 열린 자문회의에서 김부총리에게 물어봤다.

"총리를 제쳐놓고 어떻게 혼자 경제문제를 요리할 수 있소"

"아니야, 그렇게돼 있어. 대통령의 뜻이거든"

경제는 김부총리 전담사항으로 하라는 대통령 특명을 받았다는 것이다.

이를 뒷받침하듯 이런 일도 있었다.

71년 2월13일 야나기다 일본협력기금총재를 단장으로 하는 "자본협력
조사단"이 내한했다.

사전교섭으로 한국에 "한일민간금융회사"설립을 토의키로 합의돼 있었다.

금융회사 설립구상 배경은 이러했다.

당시 "한일청산계정"협약에 의해 연말에 당해년도 한일무역역조 차액을
청산하게 돼 있었다.

그런데 매년 2천만~3천만달러 무역역조를 메워야 했다.

부총리는 연말이면 이 2천만~3천만달러의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분주했다.

필자도 이에 가세했다.

즉 일본 게이단렌 우에무라회장에게 대장성에 지원을 부탁하도록 요청했다.

이런 일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장기영 부총리(65년5월~67년2월)시절부터 벌어졌던 일이다.

필자는 매년 구걸할 것이 아니라 근본 대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IFC (국제금융공사)와 합작에 의한 KDFC (한국개발금융)를 본 딴
"한일민간금융회사"설립을 구상했다.

그러나 한일금융회사는 일본자본의 한국침략론을 유발할 수 있다.

그래서 김부총리에게 경제자문회의때 조심스럽게 이런 안을 냈다.

오늘 결론을 내라는 것이 아니고, 시일을 갖고 숙고하도록 조언했다.

그런데 사흘도 안돼 전화가 왔다.

"김 부회장. 대통령께서 그 한일민간금융회사 설립을 추진하라는 말씀이야"

필자는 이 중요하고 복잡한 문제를 이렇게 신속히 대통령 결심을 얻는 것을
보고 놀랐다.

"아니, 언제 대통령을 뵈었소"

"아니야. 대통령은 지방시찰이 잦아 뵙지 못했고 김 부회장이 시일이
촉박한 것 같아 전화로 재가를 받았어"

그러면서 묻지도 않았는데 "이 정도의 문제는 대통령과 전화로 보통 상의
올리지"

은근히 최고통치자와 핫라인이 있음을 과시하듯 말이다.

다시 한일민간금융회사 설립 문제로 돌아간다.

KDFC (한국개발금융)을 전경련이 세계은행의 자회사인 IFC (국제금융공사)
와 합작으로 설립하자, 세계 각국 금융회사들은 한국에 대해 종래에 보지
못한 관심을 표시했다.

그만큼 외국에서 전경련 위상도 격상된다.

미국행동을 눈치보는 일본도 금융회사 설립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이 기회를 감지하고 필자는 매년 제기되는 한일청산계정 해결 방안도
겸해 대일 외자도입 파이프( pipe ) 마련을 제안했다.

이 한일민간금융회사가 설립되면 2~3천만달러 정도의 외자조달은 별 문제
없다고 예상했다.

대통령의 재가도 얻었겠다, 일사천리로 진척될 줄 알았다.

일본 게이단렌측도 적극적이었다.

71년 6월18일 일본은행 총재를 역임한 일본금융계의 거물 우사미씨가
내한, 한일금융회사 설립 문제를 구체적으로 협의했다.

< 전 전경련 상임 부회장 >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2월 2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