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는 내년 실물경기가 전반적으로 호조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올 경기가 바닥을 치고 회복세를 보인 만큼 내년부터는 본격적인 호황국면에
들어설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재계는 내년 경기가 회복 무드를 이어 가기 위해선 환율 금리 등 경제변수가
안정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외환위기 이후 정부가 막대한 공적자금을 투입하면서 빚어진 재정적자가
우리경제의 발목을 잡을 것이라는 우려의 표시이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부의 정책수단이 제한될 경우 총선 이후 경제환경이
급속히 악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유한수 전국경제인연합회 전무는 "위험 수위에 있는 재정 적자에 대한
대책을 정부가 서둘러 마련하지 않으면 예기치 못한 상황을 맞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 전무는 미국의 경우 재정적자가 많으면 재정건전화법에 따라 세금을 더
걷고 세출을 줄이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재계가 재정적자를 우려하는 것은 정부가 내년 4월 총선후 급격하게 시중에
풀린 돈을 환수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시중에 풀린 통화가 회수되면 금리가 치솟을 수밖에 없다.

올들어 지속적인 안정세를 보였던 실세 금리가 상승세를 탈 경우 기업들의
부담은 그만큼 늘어나게 된다.

특히 금리가 상승하면 시중 뭉칫돈이 곳곳으로 옮겨 다니며 자금시장을
교란, 기업들이 혼란을 겪을 수 있다.

올 경기가 탄탄한 회복세를 탄 것도 정부의 저금리 정책기조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금리 상승은 또 외국투자자금 유입을 가속화시켜 원화가치에 거품을 가져올
수 있다.

환율이 떨어지면 그만큼 우리 기업의 수출 경쟁력이 떨어지게 된다.

원화가치 상승으로 수출이 감소할 경우 경상수지 흑자도 줄게 된다.

재계는 내년 우리 나라의 경상수지 흑자가 1백억달러를 기록할 전망이지만
내후년에는 적자로 돌아설 가능성도 크다고 보고 있다.

경상수지가 적자로 돌아서면 국가 신용이 추락해 또다시 외환위기를 겪을 수
있다.

재계가 내년 총선 이후 경제를 우려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사전에 치밀한 경제정책을 펴지 않을 경우 회복 경제에 찬물을 끼얹을 수도
있다는 얘기다.

재계는 내년 노사관계도 우리 경제의 앞날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들어 노조 전임자 임금 지급문제로 노동계와 갈등을 겪었던 재계는
노사관계의 안정이 경제성장의 필수 조건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면 기업들이 투자를 꺼려
성장 잠재력을 위축시키게 된다"고 말했다.

외환위기 이후 자산매각을 통해 자금사정이 좋아진 대기업들은 아직
구체적인 투자대상을 찾지 못해 고민하고 있다.

또 내년 기준 환율과 금리 등을 확정하지 못해 사업계획을 세우는데도
차질을 빚고 있다.

경제 전문가들의 전망대로 내년 실물경기가 호황을 누리기 위해선 좀더
치밀한 경제정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 이익원 기자 iklee@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2월 27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