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디자이너는 어떻게 탄생되는가.

선진 외국에선 패션공부를 한 뒤 독립하거나 이름있는 디자이너 밑에서
수련하면서 패션쇼를 통해 작품을 발표한다.

눈에 띄면 유명패션사에 전속으로 스카웃되거나 제휴관계에 들어간다.

혹은 백화점이나 의류전문 유통업체에 독자브랜드로 납품하는 행운을
얻는다.

어느쪽이든 일단 실력을 인정받으면 자본 없이도 판매와 홍보가 가능하고
그 결과 세계적인 디자이너로 성장할수 있다.

국내의 경우 사정은 영 딴판이다.

애써 실력을 인정받아도 밑천이 없으면 디자이너로 크기 어렵다.

기업과의 제휴는 물론 백화점등 유통업체의 지원도 기대할수 없기 때문이다.

따로 매장을 내기 어려운 만큼 유동인구가 많은 백화점을 선호하는데
수수료가 워낙 높은데다 잦은 세일요구, "매출이 인격"이라는 식의 운영방침
때문에 좀처럼 견디기 힘들다는 것이다.

외국처럼 백화점에서 좋은제품을 골라 사입해줄 것을 바라지만 재고부담을
우려하는데다 입점 희망업체가 많아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결국 기성복시장의 급성장에도 불구하고 이렇다할 디자이너를 배출못한 채
해외브랜드에 고급패션시장을 몽땅 내주다시피 했다.

프랑스와 이태리 진출을 꿈꾸던 이신우 김정아등이 부도를 내고 재기에
힘쓰지만 여의치 않은 것은 이같은 실정을 대변하고도 남는다.

고전을 면치 못하던 디자이너브랜드중 김창숙 안피가로 유상숙씨 등 일부가
삼구쇼핑을 비롯한 홈쇼핑TV를 통해 출구를 찾고 있다는 소식이다.

30% 수수료에 반품률도 높지만 판로가 확보되고 홍보도 돼 한결 숨통이
트인다는 얘기다.

삼구쇼핑은 이들 디자이너를 격려하고 고객과의 거리를 좁히기 위해 22일
서울 하얏트호텔에서 창사5주년 기념패션쇼를 가졌다.

디자이너를 키워야 명품이 생긴다.

패션을 사치스러운 것으로 생각하는한 새천년에도 엄청난 로열티를 지불하는
패션속국 신세를 면하기 어렵다.

홈쇼핑채널을 통해서나마 국내디자이너의 육성이 이뤄져 샤넬과 질 샌더,
랄프 로렌 못지 않은 명브랜드가 탄생되기를 기대한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2월 2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