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영전략 =대부분의 기업들은 새 밀레니엄 경영전략으로 전문화를
꼽았다.

사업범위와 관련해 "전문화 위주의 경영을 하겠다"는 기업이 70.1%에
달했다.

반면 "다각화를 추구하겠다"는 회사는 1.6%에 불과했다.

나머지 28.3%는 "다각화와 전문화를 균형되게 지향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대기업의 사업다각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도 연결된다.

대기업의 다각화에 대해 57.8%가 "사업영역을 매우 좁혀야 한다"고 답했다.

"지금 그대로 상관없다"(3.1%)거나 "새시대에 맞게 더 확대해야 한다"
(10.9%)는 응답은 14%에 그쳤다.

이에 대해 28.1%는 "대기업이 알아서 할 일"이란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추구할 목표가 "매출이냐 수익이냐"는 물음엔 단연 수익쪽이 우세했다.

매출 중심이어야 한다는 기업은 하나도 없었다.

반면 수익중심으로 가겠다는 회사는 45.3%에 달했다.

나머지 54.7%는 매출과 수익을 균형되게 지향하겠다고 답했다.

중점을 둘 경영수단으론 지식관리 시스템(37.0%)을 가장 많이 제시했다.

다음은 <>전략적 제휴(27.6%) <>글로벌 아웃소싱(19.7%) <>네트워킹(15.7%)
등의 순이었다.

글로벌 경영전략으로는 대다수의 기업이 현지화를 강조했다.

''현지 자회사 중심으로 권한을 분산하겠다''거나 ''완전 현지화하겠다''는
기업이 각각 59.5%와 30.2%에 달했다.

''본사 중심의 체제를 계속 유지하겠다''는 대답은 10.3%에 그쳤다.

이와 관련, 해외 진출의 장애요인으로 ''제품의 대외경쟁력 열세''를 지적한
회사가 43.8%로 가장 많았다.

이어 <>현지 정보부족(17.2%) <>전문인력 부족 (14.1%) <>정부 규제(13.3%)
<>자본력 부족(7.8%) 등을 들었다.

부채비율에 대해선 IMF(국제통화기금) 졸업후에도 2백% 이하로 제한해야
하느냐는 물음에 "그렇다"가 68.0%, "그렇지 않다"가 32.0%였다.

<> 인력관리 =기업들은 능력주의 강화를 위해 연봉제를 더욱 확대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봉제 도입을 늘리는게 필요하냐는 질문에 90% 가까이가 고개를 끄덕였다.

19.5%는 "매우 그렇다"고 답했고 68.0%가 "그렇다"고 했다.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지 않다"는 각각 10.9%와 1.6%였다.

특히 코스닥 등록기업의 경우 연봉제 도입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전체의
96.2%에 달할 정도로 높았다.

노사관계에 대해선 "양보를 통해 대등한 협력관계를 맺겠다"는 기업이
61.7%로 가장 많았다.

이에 비해 "기업경영 중시의 협력관계"를 추구하겠다는 대답은 29.7%,
"종업원 중시의 협력관계"를 지향하겠다는 응답은 7.8%였다.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면서 고용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는 방안으론 "벤처
사업에 대한 투자"(40.6%)를 가장 많이 제시했다.

"사업의 전문화"라는 의견도 37.5%였다.

나머지는 "대형 신규사업 진출"(8.6%) "기존 사업 투자확대"(7.0%) "적극적
인 외자유치"(3.9%) 등을 꼽았다.

<> 기타 =마케팅 전략으로는 "브랜드 가치를 높이겠다"는 기업이 37.5%로
가장 많았다.

"신제품 개발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회사는 32.0%였다.

신제품보다는 브랜드에 중점을 두겠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다음은 <>인터넷 마케팅(12.5%) <>애프터서비스(6.3%) <>신시장 개척(6.3%)
<>디자인(5.5%) 등을 들었다.

신기술 확보 전략과 관련해선 독자 개발보다는 기술협력을 선호했다.

"자체 연구개발을 강화하겠다"는 기업이 25.8%인데 반해 "전략적 제휴를
통해 기술 전수를 받겠다"는 회사가 30.5%로 다소 많았다.

나머지는 <>다른 기업과 공동개발(21.9%) <>산학협력 강화(18.0%) <>신기술
매수(3.1%) <>우수 기술업체 인수(0.8%) 등의 전략을 제시했다.

필요 자금은 해외에서 조달하겠다는 비중이 높았다.

자금조달 루트로 외국과 국내의 비중은 각각 57.8%와 40.7%였다.

해외자금조달의 경우 외국인투자유치(18.8%) 증자(14.8%) 회사채발행(14.8%)
금융기관 차입(9.4%) 등의 방법을 쓰겠다고 밝혔다.

차입보다는 직접금융으로 외자를 끌어들이는 것을 선호하고 있는 것이다.

국내 자금조달에서도 마찬가지다.

금융기관 차입은 5.5%에 불과했다.

< 차병석 기자 chabs@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0월 1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