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과거 국토개발계획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가스관이나 상.하수도관,
전기배선망 등을 과실로 부수어 재난이나 불편을 겪기도 했으며 간혹 문화
유적지가 나와 건설공사가 지연되는 사태를 종종 보아왔다.

심지어 보존조치나 조사 등의 필요절차를 거치지않고 불법적으로 문화유적지
를 훼손해 쓸 데없는 사회적 물의를 빚기도 했다.

국토개발의 추진과 문화유적의 보존 모두 국가적으로 이룩해야할 정책목표
이자 국민의 복리증진에 필요한 것이면서도 양자는 항상 갈등과 마찰이
뒤따랐다.

시행착오와 갈등요소를 줄이고 예정대로 개발계획이 잘 추진될 수 있게
하기위해서는 문화유적의 사전조사나 보존조치, 아니면 문화유적이 있는 곳을
개발지역에서 제외하는것 등의 사전조치가 필요함은 물론이나 현실은
그렇지 못했다.

충분한 정보와 자료가 미흡했기 때문이다.

자료와 정보가 충분히 갖취지지 않으면 갈등과 시행착오가 재연되기
마련이다.

이를 위해서는 자료의 전산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정보 또한 지속적으로
최신화 해야 한다.

국토개발과정에서 제기될 수있는 문제들을 점검하고 겪지 않아도 될 갈등
이나 건설지연을 피하게 할 수있는 방법이 지리정보체계(GIS)라는 전산망속에
모든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이다.

특히 문화유적의 위치에 관한 내용도 그 속에 입력하여 시.군.구의 기초자치
단체 수준의 건설공사 허가과정에서 문화유산에 대한 보호조치를 사전에
취하게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한다면 역사교육자원이면서 관광산업자원이고 우리의 문화레저
생활자원이면서 삶의 질을 쾌적하게 해줄 문화유산은 잘 보호될 수있을
것이다.

영국 등에서는 문화유적 전산관리체계를 구축해 기초자치단체별로 운영
하면서 문화재관계자가 개발허가과정에 참석해 자기 지역의 문화유산 보호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문화재청의 새로운 출범에 즈음해 문화재 관리의 효율화를 위해 참고해야 할
것 같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5월 1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