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간 협력을 위해 경남과 규수지역 업체들의 수직.수평분업 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석유화학 제품의 생산과잉을 해소하는 방안으로 한일 관련업체의 지분
상호공유도 제시됐다.

대한상공회의소와 한국경제신문 공동 주최로 상의 중회의실에서 30일 열린
"아시아 위기 해소를 위한 한일협력"세미나에서 정순원 현대경제연구원
부사장은 주제발표에서 이같이 밝혔다.

정 부사장은 또 "위기를 다시 겪지 않으려면 환율.금리정책에서 공조할 수
있는 아시아 국가간 정책 협의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장희 이화여대 국제대학원장 사회로 진행된 세미나의 내용을 정리한다.

-----------------------------------------------------------------------

<>정순원 현대경제연구원 부사장 =아시아 위기는 구조적인 문제에서 생겨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본을 빼곤 대개 해외에서 성장자원을 조달해 외부충격에 약하다.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역내 충격완화 장치도 없다.

일본과 아시아의 연계성은 확대돼 왔지만 IMF는 일본경제의 탈아시아 현상을
초래하고 있다.

아시아 국가들은 수출로 달러를 벌어 외채를 갚으려고 미국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생산은 일본, 시장은 미국에 의존하는 형국이 됐다.

일본이 동남아 제품을 구입하지 못하면 미국시장 편중은 심화될 것이다.

지역블럭의 필요성도 그만큼 떨어진다는 얘기다.

일본 경제가 개선되지 않는다면 엔화절하로 누적된 문제가 한꺼번에 나타
나며 중국 위앤화를 절하시킬 것이다.

그 경우 주변국 통화도 같이 평가절하되면서 경제난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일본의 역할이 중요하다.

일본경제가 회복돼 내수증가 수입확대 엔화절상으로 이어지면 가장 좋다.

그렇지만 아시아 지역내 유효수요 창출도 중요하다.

메콩강 개발계획을 실천에 옮기거나 동북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철도를
건설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

AMF(아시아통화기금)창설도 또다시 시도해 볼만하다.

위기때 최종대부자나 조기경보자 역할을 한다면 반대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공동체 결성이 힘들다면 환율밴드제 등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경합품목이 많다면 묶어서 구조조정을 벌여야 한다.

유럽의 산업 르네상스는 역내 생산요소를 묶어준 게 배경이다.

일본은 한국과의 산업재구축이 유리할 수 있다.

환율.금리에서 보조를 맞출 수 있는 중앙은행간 정기회합도 필요하다.

경남과 규슈지역 업체들 사이에 수직.수평 분업하는 방안이나 자동차같은
특정분야의 부품단지를 지정해 육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석유화학에선 지분 상호교환으로 과잉생산 조절도 가능하다.

이런 방안은 "윈-윈"에 대한 자신감 부족에서 시행되지 못했다.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5월 1일자 ).